혁신위 “비례 당선권에 청년들 대거 공천…
미래 세대 생각하면 세대교체 필요한 시점”
“‘대통령실 출신’에 어떠한 특혜도 없을 것
‘중진·지도부·친윤’ 불출마 요구 공식화”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미래’를 키워드로 삼은 3호 혁신안을 내면서 청년 정치인의 약진을 이끌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했다. 특히 비례대표의 50%를 청년들로 의무 공천하는 방안과, 영남권·서울 강남 등 당이 우세한 지역에 청년들을 전략적으로 우선 배정하는 안건 등을 내놨다.
‘국민과 함께’ 혁신위는 9일 오후 여의도에 위치한 중앙당사에서 제5차 전체회의를 열어 ‘청년은 우리의 미래다’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 3호 혁신안을 발표했다.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이제 미래로 간다. 우리가 과거의 잘못을 고치기 위해 많은 안들을 냈고 이제는 미래의 여성·청년, 당 안에서의 실질적인 청년의 참여, 더 나아가서 청년의 앞으로 일자리, 어떻게 참여를 더 시킬건가, 어떻게 목소리를 들을 건가가 주제”라고 강조했다.
이에 혁신위는 실제로 △비례대표 청년 50% 의무화 △당선 우세 지역에 청년 전략지역구 선정 △전 정부기구 및 지자체의 모든 위원회에 청년위원의 일정 비율 참여 의무화 등 청년 정치인을 발굴할 수 있는 안들을 3호 혁신안에 담았다.
최안나 혁신위원은 전체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미래 세대를 생각했을 때 세대교체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당선권 가능한 순번에 비례대표 청년 50% 의무화를 추천한다”며 “또 당선 우세 지역에 청년 전략지역구를 선정하고 두 방식 모두 공개경쟁을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선발할 것이고 공개오디션 등 방법을 채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혁신위는 국민의힘 우세지역에 45세 이하 청년들만 공개 경쟁할 수 있는 ‘청년 공개경쟁 특별지역구’를 선정해 운영할 것을 제안할 방침이다. 통상 ‘보수 텃밭’으로 불리는 영남·서울 강남권 등을 ‘청년 전략지역구’로 지정할 것으로 보인다.
최 위원은 “전 정부 기구 및 지자체의 모든 위원회에 청년위원의 일정 비율 참여 의무화 및 확대를 권고한다”며 “이 과정을 통해 정책 결정과 청년들의 이야기를 더 지속 가능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그들의 목소리 들을 수 있는 방안으로 이 세 가지를 안건으로 내놨다”고 말했다. 해당 안건들은 당정협의회를 통해 시행규칙을 개정하도록 당에 요구하는 방식으로 공식화될 예정이다.
이어 혁신위는 용산 대통령실 출신의 출마 예정자에 대한 ‘전략공천’은 없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경진 혁신위원은 “대통령실에서 내려오는 사람들에 대해 절대 이번 선거 과정에서 어떠한 특혜도 있을 수 없다”며 “오히려 더 엄정한 경쟁 과정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그 부분도 혁신위에서 안건으로 논의해 어느 시점엔 당 최고위원회로 접수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특이한 지역구의 경우에 전략공천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에 대해서는 공정하다, 공정하지 않다 일률적 이야기를 하기 어렵다”면서도 “대통령실에서 20~30명이 나온다는데 이 사람들에 대해 우선적인 공천 배려를 한다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2호 혁신안으로 나왔던 지도부·중진·대통령 측근에 대한 총선 불출마 혹은 수도권 험지 출마 권고는 조만간 공식화할 것이란 목소리도 나왔다.
김 위원은 당 최고위원회에 불출마 등 요구 안건이 공식 접수되지 않은 것에 대해 “결심한 시간이 필요하니까 그 부분에 대한 공식 안건으로 문건 접수는 시간적 여유를 두고 하면 당내 희생과 혁신의 흐름 속에서도 더 도움될 수 있다는 전언이 있었고, 여러 정책적 고려를 해서 오늘 안건에 넣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5선 중진 주호영 의원이 대구 지역구 출마 입장을 시사한 데 대해 김 위원은 “중요한 것은 당이 살아나길 원한다면, 당이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길 원한다면 우리 당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은 인요한 위원장 권고대로 불출마를 선언하든지 수도권에 출마하는 방식으로 본인이 희생하는 모습을 보이고 당의 주류가 희생하는 모습을 보였을 때 이것이 국민의 감동으로 이어져 국민의힘의 총선 승리를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인요한 위원장과 혁신위원들은 지난 8일 대구광역시를 방문해 경북대학교 학생들로부터 △청년 정치인 부족 △정치권의 소통 부재 △청년 정책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의견을 경청한 바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