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①삼성-SK-롯데 유럽서 결투… 바이오 CDMO 대전
②’영업익 1조 시대’ 삼성바이오로직스, 네쌍둥이 공장 짓는 이유
③바이오 CDMO에 진심인 SK와 롯데
삼성, SK, 롯데 등 국내 대기업이 지난달 24~26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CPHI 월드와이드 2023′(CPHI)에 모였다. CPHI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관련 종사자 4만여명이 방문하는 관련 업계 세계 최대 박람회다. 전업이 제약바이오가 아닌 이들 대기업은 콘퍼런스의 중심에서 ‘CDMO'(위탁개발생산) 비전과 성장 방향을 소개하는 경쟁을 펼쳤다.
특히 올해는 3사 수장들이 현장에서 발로 뛰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글로벌 고객사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이어갔고 요그 알그림 SK팜테코 사장은 종합 CDMO 기업으로서 합성의약품뿐 아니라 바이오 의약품 분야로의 진출을 알렸다.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는 CDMO 사업 진출과 함께 확보한 미국 시러큐스 공장의 생산 역량과 국내 바이오 플랜트를 통한 중장기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2018년부터 매년 단독 부스를 마련해 CPHI에 참가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시장 메인 위치에 225㎡ 규모의 부스를 설치하고 회사의 주요 경쟁력을 알렸다. 원료의약품(API) 부문에서 CDMO 섹션으로 자리를 옮긴 SK팜테코는 역대 최대 규모인 189㎡ 부스를 설치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단독 부스(105㎡)를 차리고 글로벌 파트너사를 맞았다.
|
CDMO 사업에 뛰어든 이유
━
국내 대기업들이 바이오 CDMO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장기불황의 문턱에 선 기존 산업과 달리 미래 먹거리로서 바이오를 본 것이다. 업계에선 대기업들이 제조 분야인 CDMO 사업을 강화하는 점에서 한국이 ‘세계의 의약품 공장의 중심’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앤설리번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바이오 CMDO 시장은 202억달러(약 27조원)에서 2028년 477억달러(약 63조원)까지 커질 전망이다. CDMO는 기존 위탁생산(CMO)에 위탁개발(CDO)을 더한 개념으로 본질은 의약품 제조다.
의약품 시장에서 제조의 성장세가 전망되는 이유는 분업화다. 신약이 시장에 나오는 데에는 여러 단계를 거친다. 후보물질 탐색을 시작으로 동물실험을 뜻하는 전임상, 이후 사람한테 직접 실험하는 임상(1~3상)과 허가, 제조 판매 등이 해당한다. 신약 개발에는 긴 호흡이 필요한 만큼 연구개발(R&D)에만 집중하려는 개발사들이 많아지면서 임상 의약품 생산부터 품질관리, 시판용 의약품 생산 등을 전문적으로 해주는 CDMO 사업이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주축으로 부상했다.
일찍 시장을 알아본 건 삼성이다. 삼성은 2011년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통해 CMO 사업 진출을 알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업력 11년만인 지난해 매출 3조13억원을 달성했다. 2020년 1조원(1조1648억원) 고지를 밟은 뒤 2년 만에 세 배 가까운 실적 증대를 이뤘다. 지난해 3월부터는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판매까지 재무 성과로 포함하면서 매출 확대가 두드러졌다.
|
투자 확대하는 삼성·SK·롯데
━
바이오 대기업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CDMO 사업의 핵심 플레이어로 거듭나겠다고 공언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대규모 투자를 예고했다. 지난 10월25일 인천 송도에 위치한 제2 바이오캠퍼스에 제5~8공장을 건설하는 데 총 7조5000억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내놨다. 이미 1조9800억원을 집행한 제5 공장을 2024년 상반기 완공하고 추가 투자로 2027년 6공장, 2032년까지 7, 8공장을 짓는다.
SK는 SK팜테코의 지속 성장을 위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SK팜테코는 현재 5억달러(약 6600억원) 규모의 상장 전 지분투자(Pre-IPO)를 진행하고 있다. 자금 유치를 통해 미국, 유럽 중심의 글로벌 사업 가속화와 함께 CDMO 사업 경쟁력을 제고한다. 지난해 매출 1조원(약 7억8000만달러)를 돌파했고 2026년 20억달러가 목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초 항체 의약품 생산 기반을 세우는 데 3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 10월4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송도 내 바이오 플랜트 건립을 위한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토지매매 대금만 2422억원에 이른다. 2025년과 2027년, 2030년 순으로 각각 제1, 2, 3 공장을 준공할 계획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