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빨대 업체, 생존권 보장하라.”
종이빨대 제조업체들이 환경부의 플라스틱 빨대 사용규제 완화로 판로가 막혀 도산 위기로 내몰렸다며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를 믿었다가 위기에 내몰렸다면서 긴급지원 자금 투입을 요청했다.
11개 종이 빨대 업체로 구성된 ‘종이빨대 생존 대책 협의회’(가칭)는 16일 보도자료를 내고 환경부가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 계도기간을 무기한 연장한 데 따른 ‘피해’를 공개했다.
협의회는 “회원사 기준 현재 재고량이 약 1억 4000만개이고, 회원사 이외 업체의 재고량을 더하면 약 2억개의 재고량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업계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협의회 미참여 업체까지 포함하면 재고량은 약 2억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회원사 기준 월 생산량은 약 2억7000만개이지만 현재 생산 기계 가동을 멈춘 상태로, 종이 빨대 판로마저 막혀 제조업체들이 이 재고를 떠안고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카페 등에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면서, 1년간은 위반해도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 계도 기간을 설정했다. 이 계도 기간이 끝나고 오는 24일부터는 플라스틱 빨대 사용에 대한 엄격한 단속이 예상됐으나, 환경부는 지난 7일 카페 등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준다며 계도기간을 사실상 무기한 연장했다.
이상훈 종이빨대생존대책협의회 공보담당 이사는 “전국에 있는 종이빨대 업체들은 대부분 중소업체”이라며 “당장 긴급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재고를 팔 수 있는 판로가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가 플라스틱 빨대 사용금지 계도 기간의 종료 시점을 ‘유엔 플라스틱 협약 등 국제 동향, 대체품 시장 상황을 고려해 추후 결정(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 이 이사는 “규제 계도 기간의 정확한 일정 발표가 당장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종이빨대 제조사 대표들은 지난 13일 오후 환경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갑작스러운 정책 변경에 따른 피해 보상과 명확한 계도기간 설정을 호소했다. 협의회는 이어 환경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지만, 별다른 대책 마련 없이 양측의 입장 차만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책협의회는 보도자료에서 “환경부는 생사의 기로에 서 있는 종이빨대 제조기업을 위해 다음 간담회에서는 종이빨대 제조기업들에 확실한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