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요소수 대란’ 당시 요소수 품절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는 서울 시내 주유소 [연합]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요소수의 중국 의존도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요소수 대란 이후 중국 의존도를 낮춰 국내 수급의 안정을 꾀한다고 했지만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중국 당국이 최근 한국으로의 산업용 요소 통관을 돌연 보류하면서 국내 요소수 수급에 또 다시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는 4일 중국의 요소 통관 중단과 관련한 합동회의를 열고 요소 공급망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달 30일 국내 업체들이 중국에서 수입하려던 요소 상당량이 검사를 마친 상태에서 현지 해관총서(세관)의 지시로 선적 작업이 중단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환경부, 외교부 등 관계 부처는 지난 1일부터 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다만 공식적으로 요소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한 바 없다는 게 중국 정부 입장이다. 우리 정부는 중국 측에 문제 해결을 요청한 상태다.
요소를 원료로 만드는 요소수는 경유 차량이 배출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질소와 물로 분해하는 제품이다. 대형 공장, 발전소에서도 매연 방지를 위해 사용해 발전·수송 등 산업 전 분야에서 필수 소재다.
현재 우리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요소 비축 물량은 오는 2월이면 동 난다. 기재부는 전날 “차량용 요소 및 요소수 국내 재고, 베트남·일본 등 중국 외 국가로부터 수입 예정분을 합쳐 약 3개월 분의 재고가 확보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기업이 중국 기업과 기 체결한 계약 물량이 예정대로 도입될 수 있도록 중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할 예정”이라며 “업계의 수입선 다변화 지원, 차량용 요소 정부비축 제고 등 국내 수요 물량의 차질 없는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 지난 2021년 요소수 대란을 겪은 바 있던 정부가 철저한 준비 없이 상황을 방치하고 있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실제 2021년 1~9월 우리나라가 중국에서 수입한 차량·산업용 요소는 약 1450억원어치다. 우리 총 수입액의 0.03%에 그치지만, 이로 인해 물류·건설·화학 등 국내 전 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다. 정부는 당시에도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재발을 막겠다고 했지만, 2년이 지난 현재 중국 의존도는 오히려 2년전(71%)보다 훨씬 높은 91% 수준이다.
게다가 이번 중국의 요소 수출 금지 조치가 예견됐다는 비판도 나온다. 중국 내 요소 가격이 지난 6월부터 7월 말 사이 약 50%가량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미 9월부터 금융시장에선 중국 정부가 자국 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고, 국내 요소수 관련주가 급등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9월8일에도 “차량용 요소수 원료 등에 대한 중국 당국의 포괄적 수출제한 조치는 확인된 바 없다”며 “공공비축분과 민간 재고량을 합쳐 60일분 이상을 확보했다”고 답했다.
다만 정부의 이런 답변과 달리 시장에선 요소수 품귀 현상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번지면서 온라인상에서도 요소수 판매가 급증하기도 했다. 2021년 당시 10ℓ(리터)당 1만원이었던 요소수 가격은 10배 이상 치솟은 바 있다. 만약 정부가 오는 2월까지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한다면 또다시 요소수 품귀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요소수 주유소 3402개소 가운데 82개소는 이미 재고가 없는 상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