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을 국가적 의제로 삼은 정부는 정신건강 정책의 장기적·복합적인 과제를 추진하고 평가해 나갈 구심체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위 과제를 해결해 나갈 전망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마음건강서비스 이용률을 12.1%에서 24%로 2배, 정신장애인 고용률은 10.9%에서 30%로 3배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 사업 539억원을 비롯해 내년도 정신건강정책 분야에 3866억원을 편성한다. 이는 올해 예산과 비교해 706억원 증액된 규모다.
해당 대응책을 두고 의료계에서는 예방과 재활 과정을 다루는 정신건강정책을 추진하는 것을 환영한다면서도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의료 현장에 적용된 각종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청년 정신심리상담에 500억원이 넘는 큰 예산이 배정됐는데, 해당 예산이 알맞게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김동욱 회장은 본보와의 통화를 통해 “현재 청년 정신심리상담 관련 예산만 공개됐는데,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자격이 없는 등의 상담사에게 청년들이 진료받을 수 있는 상황이 나올 수도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해서 치료 자격 관리, 치료 프로그램들이 먼저 구축돼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지난 정부의 탈원화 정책과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인한 정신병원 병상 감축으로 정신질환자의 입원 치료 및 절차가 어려워졌고 많은 의사 인력이 떠난 상황”이라며 “혁신 과정에서 정부가 지나치게 규제하고 간섭하거나 보호자 및 의료진에게 지나친 책임을 무는 제도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