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말 기준 가구의 순자산이 2000만원 가량 줄어든 가운데 40대와 자영업자의 부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남산에서 내려본 서울 아파트단지. [연합] |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고금리·고물가에 지난 1분기 우리나라 가구의 순자산이 줄어든 가운데 40대와 자영업자의 부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이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전국의 2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 부채는 9186만원으로 순자산은 4억3540만원으로 조사됐다. 자산이 3.7%줄어들고 부채는 0.2% 늘어나면서 순자산도 2062만원 감소했다.
지난해 평균 소득은 6726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늘고 비소비지출이 8.1%(1280만원) 증가하면서 처분가능소득은 5482만원으로 197만원 늘었다. 비소비지출은 모든 항목이 2% 이상의 오름세를 보였는데, 이자비용이 18.3%나 급증했다.
[한국은행 제공] |
전체 가구의 57.4%가 3억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하며,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10.3%를 차지했다. 가구 자산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금융자산(23.9%) 1억2587만원과 실물자산(76.1%) 4억140만원으로 구성됐다. 소득 5분위 가구의 자산은 전체의 44.6%, 소득 1분위 가구는 6.6%를 점유하고 있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50대 가구와 자영업자 가구에서 자산이 가장 많았다.
우리나라 가구는 소득이 증가하고 여유자금이 발생하면 대체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50.4%)’에 나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부동산 구입(23.9%)’, ‘부채 상환(21.6%)’이 뒤를 이었다.
특히 금융자산 투자는 예금(88.8%)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주식(8.7%), 개인연금(1.5%) 순이었다.
우리 가구 부채 수준은 소폭 늘었는데, 이중 금융부채가 72.9%(6694만원)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임대보증금은 27.1%(2492만원) 수준이었다. 소득 5분위 가구가 전체의 44.9%에 달했고, 소득 1분위 가구의 부채는 전체의 4.4% 수준에 불과했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40대 가구와 자영업자 가구에서 부채가 가장 많았다.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7.6%로 전년 대비 3.2%포인트 늘었다.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본 가구도 5.5%로 전년 대비 0.8%포인트 확대됐다. 3월 말 기준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0.7%포인트 증가한 17.4%이며,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3.9%포인트 감소한 75.7%다.
가구소득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4390만원)의 비중은 64.9%로 전년대비 1.2%포인트 늘었지만 사업소득(1206만원)은 17.8%로 같은 기간 0.1%포인트 감소했다.
가구소득 구간별 가구 비율은 1000~3000만원 미만에서 21.6%로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소득 5분위 가구의 소득점유율은 46.1%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감소했다. 가구주 중 50대 가구와 월급을 받는 상용근로자 가구에서 소득이 높았다.
[한국은행 제공] |
노후준비는 대체로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말 기준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8.1세로, 실제 은퇴한 연령은 62.7세로 조사됐다.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83.0%) 중에서 가구주와 배우자의 노후 준비상황이 ‘잘 되어 있는 가구’는 7.9%에 불과했고, ‘잘 되어 있지 않은 가구’는 53.8%에 달했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 중 생활비 충당 정도가 ‘여유 있는 가구’는 10.5%로, ‘부족한 가구’는 58.4%로 나타났다.
부채와 소득 수준은 시도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3월 말 기준 자산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세종·경기였다. 부채 또한 서울·인천·세종·경기 지역이 평균치보다 높았다. 순자산 부분에선 서울·세종·경기에 제주까지 추가돼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지난해 기준 소득이 전국 평균을 웃도는 지역은 서울·대전·울산·세종·경기 지역이었다.
소득 불평등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배율은 하락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24로 전년 대비 0.005 감소했으며, 소득5분위배율 또한 전년 대비 0.07배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상대적 빈곤율은 전년대비 0.1%포인트 증가한 14.9%로 집계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