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제에 반기를 든 이낙연 전 대표가 연일 신당 창당에 무게를 둔 행보를 이어가면서 친명(친이재명)·비명(비이재명)계 간 갈등 종착점이 ‘분당’이 될지 주목된다. 지도부는 이 전 대표의 이탈을 막기 위해 노력은 하겠지만 특별대우도 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이미 결별은 기정사실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전 대표는 11일 서울 동대문구 삼육보건대에서 가진 ‘대한민국 생존전략’ 강연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귀국 후 5개월 이상 기다렸지만 바람직한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다”며 창당을 시사했다. 전날 국회에선 “(창당에는) 실무적인 일이 굉장히 많다. 누군가는 당연히 준비해야 한다”면서 ‘결단 시점’을 묻는 말엔 “늦지 않게”라고 답했다. 이 전 대표는 신당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도 만날 수 있다며 ‘이·이 연대’ 가능성도 열어둔 상태다.
앞서 이 전 대표는 지도부에 당 민주주의·도덕성 회복과 팬덤정치 결별 등을 요구했지만, 더는 가시적인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는 “혁신하랬더니 오히려 당헌을 바꾸면서 사당화를 하지 않나”라며 “분당되면 이 대표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의 자신감 기저에는 ‘신당 열차’에 올라탈 의원이 적지 않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명계 모임 ‘원칙과 상식’의 김종민·윤영찬·이원욱·조응천 의원과 공천이 불안정한 일부 친이낙연계 합류 가능성이 거론된다. 먼저 탈당한 이상민 의원과 비명 성향 의원들을 더 규합해 교섭단체 요건인 20명을 확보한다면 민주당은 그대로 분당 수순을 밟게 된다. 실제 이 전 대표는 이날 서울 종로 사무실에서 이 의원과 비공개 회동을 갖기도 했다.
친명계 내에선 ‘이낙연 신당’에 회의적인 시선이 적지 않다. 극단적 양당 체제에서 신당 성공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현실론부터 ‘반명’ 하나로 당을 깨기에는 명분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김민석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서 “정치인 이낙연의 정체성이 뭔지 궁금해진다”며 “(이낙연 신당은) 전국적으로 1석도 못 얻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결국 이 전 대표 탈당이 야권발(發) 정계개편으로 이어지면 이 대표도 책임론에 휩싸일 수 있는 만큼 표면적으로라도 관계 개선을 노력해야 하는 처지다.
앞서 이 대표는 이 전 대표에 대한 강성 당원의 ‘출당 청원’ 삭제 조치를 내린 데 이어 이 전 대표와의 회동을 물밑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이 대표와 이 전 대표의 만남을 주선해야 할 만한 상황이 되면 늘 할 수 있다”며 “두 분이 늘 상시적으로 통화하고 자주 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양측의 접점은 전향적인 쇄신 약속을 넘어 ‘공천 지분’에 달렸다는 분석도 있지만, 지도부는 특정 계파에 대한 특별대우는 없다는 원칙론을 내세우고 있다. 파격적인 지분을 내걸어 이 전 대표 등 비명계를 잔류시켜도 당의 기강이 무너지면 무의미하다는 취지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SBS라디오에서 “이 전 대표의 조언, 충고를 보면 당에 대한 애정과 역할은 남아 있다”면서도 “역할과 위상은 존중하지만 많은 의원이 있는데 누구를 특별대우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지도부 한 관계자는 “소위 ‘친명’이라는 분들도 당의 공천 시스템에 따라 전국에서 죽어라 경선을 준비하고 있다”며 “(비명계에) 그냥 지분을 내줬다간 역풍이 적잖을 것”이라고 말했다.
분수령은 지난 7월에 이은 2차 ‘명낙회동’ 성사 여부가 될 전망이다. 당 고위관계자는 “두 분이 공식적으로 만난다면 서로 어느 정도 안건 조율을 마친 것이기에 이 전 대표가 탈당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이 전 대표가 대표의 리더십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제안을 해도 봉합은 쉽지 않을 듯하다”고 전망했다.
이어 “이 전 대표가 지분을 약속받고 당에 남는 것도 우스운 일”이라며 “계속 노력은 하겠지만 이 전 대표가 나간다면, 당이 안 잡은 게 아니라 이미 잡을 수 없었던 것으로 봐도 된다”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