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멘토 신평 변호사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셀럽 효과에도 총선 여론조사에서 정부 견제론이 과반이상 나오자 “이대로 가면 여당 참패가 틀림없다”고 우려했다. 한 위원장의 지지율 상승 등 셀럽 효과는 보수 강성 지지층의 도돌이표성 지지의 효과일 뿐이라고 분석했다.
신평 변호사는 지난 13일 오후 페이스북에 쓴 ‘한동훈 비대위는 도돌이표’라는 글에서 12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들어 여러 면에서 의미심장하다고 밝혔다. 신 변호사는 조사에서 정부견제론이 51%, 정부지원론이 35%로 양쪽의 차이가 무려 16%가 난다는 점을 들어 “민주당이 여당으로 압승했던 21대 총선 직전 양쪽 차이는 11%로, 정부지원론이 많았던 점을 생각하면 현 16% 차이의 막중한 무게감이 위태롭게만 느껴진다”며 “이대로 가면 여당은 다시 참패할 것임이 틀림없다”고 내다봤다.
현재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을 두고 신 변호사는 “정치인으로서 근래에 볼 수 없었던 ‘셀럽효과’를 누리고 있다”며 “엄청난 인파가 그가 가는 곳에 몰리고, 그를 보며 감격에 겨워 눈물을 흘리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고 제시했다. 한 위원장이 지난해 12월26일 취임하기 전인 12월5~7일 실시한 갤럽조사에서 정부견제론과 정부지원론의 격차가 지금과 동일한데, 한 위원장의 지도자 선호도는 16%에서 22%로 폭등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신 변호사는 “이와 같은 결과를 과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며 “답은 딱 하나를 가리킨다. 한 위원장의 셀럽효과는, 보수와 중도 그리고 진보의 대충 비율을 나타내는 3:4:3의 구도에서 원래 국민의힘 강성지지층인 30% 안에서 나온 것”이라고 규정했다. 신 변호사는 “한 위원장의 중도층 소구력은 미약하고, 한 위원장은 고작 강성지지층 안에서 도돌이표가 지시하는 대로 왔다 갔다하며 그들을 잘 규합하는 역할에 머물렀다는 것”이라며 “한 위원장 체제 출범 당시 이미 제기된 우려이고,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유지되리라 본다”고 내다봤다.
신 변호사는 검사와 같은 직업에 오래 종사한 사람은 ‘청산형의 사고’에 빠지기 쉽지만, 현실을 뛰어넘는 상상을 하며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갈 수 있는 ‘생성형의 사고’는 부족하다고 분석한다. 그는 한 위원장이 정치현실에서 여러 경험을 더 해야 ‘생성형 사고’인으로 넘어갈 수 있다면서 “지금 그는 넘어가기 힘든 벽에 가로막혀 있다고 본다”고 추론했다.
민주당의 공천 국면이 수습되면 이재명 대표가 2선으로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예상한 신 변호사는 “이런 구도가 되면 중도층은 국민의힘에서 멀어질 것”이라고 봤다. 신 변호사는 “한 위원장을 교체하는 것은 아마도 국민의힘 내부 사정을 보면 불가능할 것”이라면서도 “한 위원장을 도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공동비대위원장을 내세우거나 선거대책위원회를 조속히 발족해 한 위원장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것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하지 않을까”라고 분석했다.
앞서 신 변호사가 제시한 여론조사 결과는 한국갤럽이 지난 9~11일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에게 4월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어느 쪽 주장에 더 동의하느냐고 물은 결과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 35%,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 51%로 나타났고 14%는 의견을 유보한 것을 말한다.(한국갤럽 자제조사, 전화면접 조사방식,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 14.3%. 자세한 조사 개요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한국갤럽은 한달 전 조사 때와 다름없는 결과라고 한국갤럽은 분석했다. 특히 한국갤럽은 성향 중도층에서도 여당 승리(27%)보다는 야당 승리(56%) 쪽이 많았고, 무당층에서도 48%가 야당 승리를 원했고, 여당 승리는 15%였으며 37%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난해 3월 조사에서는 정부 지원론(42%)과 견제론(44%)이 비등했으나 4월부터 견제론이 우세한 구도로 바뀌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여권에 적신호”라며 “10~11월 연속 감소했던 양론 격차가 12월 크게 벌어졌고(6%포인트→16%포인트), 이후 비대위가 출범했으나 구도는 달라지지 않았다”고 해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