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Su-17 / Su-22 전폭기

조회수  

test 테스트

수호이 Su-17 전폭기 <출처: aviation21.ru>“></p>
<dt>
    수호이 Su-17 전폭기 <출처: aviation21.ru>
   </dt>
</dl></div>
</p>
<p> <strong><font size=개발의 역사

1960년, 당대에는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 Su-7 전폭기가 소련군에 실전 배치됐으나, 소련 군 당국은 Su-7의 착륙 속도에 만족하지 못한 데다 여러 설계 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전자 장비와 무기체계에 불만이 많았으므로 군 당국은 수호이(Sukhoi) 설계국에 Su-7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화 한 신형 항공기 개발에 착수할 것을 명령했다. 수호이 설계국은 1960년대 중반, Su-7B가 실전 배치된 뒤부터 본격적으로 Su-7 기종의 이착륙 거리를 줄일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우선 수호이 설계국은 기존 Su-7 설계에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와 감속 낙하산을 설치해 보았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했고, 결국은 서방에서 한창 개발이 진행 중이던 가변익(可變翼: variable-sweep wing) 개념을 도입하는 방법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이 신형 전투기의 개발은 수호이의 수석 설계자인 니콜라이 지린(Nikolay Zyrin)이 이끌게 되었다.

Su-17의 원형이 된 Su-7B, NATO 코드네임

Su-17의 원형이 된 Su-7B, NATO 코드네임 “피터-A(Fitter-A)”의 모습. 폴란드 공군 도색이 되어 있다. (출처: US Air Force)

가변익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한 수호이는 러시아 중앙 항공 유체역학연구소(TsAGI: Центра́льный аэро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의 지원을 받아 1963년 가변익 기술시연기를 개발했으며, 수호이 설계국과 TsAGI는 시연기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Su-7에 장착할 수 있는 신형 가변익 설계에 착수했다. 일명 S-22I, 혹은 Su-7IG로 명명된 이 기체는 Su-7BM을 기본으로 삼아 개조했으며, 주익 각도는 28˚, 45˚, 그리고 62˚로 변환이 가능했다. 기본적으로는 Su-7의 동체 설계를 거의 건드리지 않았으며, 동체의 기체 중간 부분만 랜딩기어를 교체해 넣으면서 소폭 길어졌을 뿐이다. 주익은 모두 중익(中翼) 위치에서 약간 아래로 설치됐으며, 윙팁은 뭉툭한 형태로 가공했다. 가변익은 전 각도에서 모두 안정적인 비행 성능을 보여주었다.

Su-7BM을 기본으로 개조된 가변익 기술시연기 Su-7IG <출처: Сухой>“></p>
<dt>
    Su-7BM을 기본으로 개조된 가변익 기술시연기 Su-7IG <출처: Сухой>
   </dt>
</dl></div>
<p>이 기체는 소련의 시험 비행 조종사인 블라디미르 일류신(Vladimir Sergeyevich Ilyushin, 1927~2010: 일류신 설계국의 창업자인 세르게이 일류신의 아들이지만 수호이 설계국 시험 비행 조종사로 재직, 소장 전역)이 조종간을 잡아 1966년 8월 2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으며, 비행 중 몇 차례 주익을 가변시켜 가변익의 비행성을 검사했다. Su-7IG는 목표했던 대로 이착륙 특성이 향상됐으며, 항속 거리와 체공 시간 역시 크게 늘어났다. 이착륙 속도는 Su-7 원 기체에 비해 약 50~60km/h 가량 줄었다. Su-7IG는 전반적으로 기체 통제력이 좋아졌지만 고 받음각에서 직접적인 스톨 현상 발생의 전조로 받아들일 수 있는 버피팅(buffeting) 현상도 사라졌다. Su-7IG는 초도 비행에 성공한 후인 1967년 7월, 도모데도보(Domodedovo) 항공 퍼레이드를 통해 일반에 공개됐으며, 1969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소련 정부 내각 결정으로 양산이 결정되면서 명칭 역시 Su-17을 부여받았다. Su-17은 다시 내부 개조를 거쳤으며, 양산 형상은 S-32라는 명칭이 붙어 1969년 7월 1일 자로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p>
<div class=
Su-7BM을 기본으로 개조된 가변익 기술시연기 Su-7IG <출처: Сухой>

Su-17 양산기는 1969년부터 유리 가가린 항공기 공장(현재의 콤소몰스크-온-아무르 항공기 공장, KnAAPO)에서 생산이 시작됐다. 양산기는 극동군구의 제523 비행연대에 처음 배치됐으며, 이후 1990년까지 계속 양산되어 총 2,867대가 생산됐다. Su-17은 시제기였던 Su-7BM보다 비행 성능이 우수했으며, 연료 탱크가 작아지고 항공기 질량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항속 거리와 체공 시간이 길어지고 이착륙 특성이 개선됐다. Su-17은 여러 파생형이 제작됐으나 대부분 AD-21F-3 엔진이 장착됐으며, 1975년부터는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KN-23 항법체계가 장착되면서 정밀도가 높아졌다.

소련 공군 마킹이 들어간 Su-17의 모습. 2014년 1월에 촬영된 사진으로, 착륙을 위해 랜딩기어를 내린 모습이다. (출처: Rob Schleiffert/Wikimedia Commons)

소련 공군 마킹이 들어간 Su-17의 모습. 2014년 1월에 촬영된 사진으로, 착륙을 위해 랜딩기어를 내린 모습이다. (출처: Rob Schleiffert/Wikimedia Commons)

Su-17은 수많은 파생형이 제작되었으며, 대부분의 수출 형상은 Su-20 혹은 Su-22라는 명칭으로 판매됐다. 초기 양산형인 Su-17은 설계 원형인 Su-7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긴 항속 거리와 체공 시간을 자랑하고, 동체 크기는 줄어든 반면 이착륙 거리가 줄어들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의해 “피터(Fitter: 기술공이라는 의미)”라는 별칭이 붙은 Su-17 시리즈는 1990년까지 계속 양산됐으며, 2,800대 이상이 제작되어 다수의 해외 국가로도 수출됐다. 폴란드와 베트남, 앙골라, 시리아, 우즈베키스탄, 리비아 등지에서는 아직도 일부 기체가 현역으로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징

Su-17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서 명명한 “피터”라는 별칭으로 유명하며, 서방에서 개발된 전폭기인 F-111 아드바크(Aardvark) 전폭기와 유사 시기에 실전 배치된 가변익 항공기이다. 하지만 F-111은 탑재 중량이나 성능 면에서 Su-17은 물론 Su-24보다도 컸으므로, 엄밀히 따지자면 Su-17의 상대로 꼽을 유사 등급의 서방 전투기는 가변익은 아니지만 최고 속도나 탑재 중량 면에서 유사한 영-불 합작 전투기 세페캇 재규어(SEPECAT Jaguar) 정도이다.

폴란드 공군의 Su-17 항공기가 2018년 발틱 작전(Baltic Operations) 연합연습 간 근접항공지원(CAS) 임무를 묘사 중인 모습. (출처: Staff Sgt. Dengrier M. Baez/USMC)

폴란드 공군의 Su-17 항공기가 2018년 발틱 작전(Baltic Operations) 연합연습 간 근접항공지원(CAS) 임무를 묘사 중인 모습. (출처: Staff Sgt. Dengrier M. Baez/USMC)

하지만 1:1 성능 면에서는 Su-17보다 재규어가 항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예를 들어 재규어는 레이저 표적지시 기능이 들어간 1세대 표적획득 포드인 ATLIS 표적획득 포드가 장착되어 있어 표적을 지시할 때 포드 안의 짐벌(gimbal)이 회전하여 표적을 찍으므로 항공기 전체가 표적을 향해야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Su-17은 가장 기본적인 표적획득체계가 들어있으므로 항공기가 우선 표적과 방향을 일치해야 하고, 조종사가 표적을 향해 레이저 표적지시기를 찍으면 그때 “락온” 되는 방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드포인트 숫자는 Su-17이 훨씬 더 많은 데다 아예 R-60 공대공 미사일용으로 지정된 하드포인트가 할당되어 있어 공대공/공대지 무장을 섞어 장착할 수 있던 반면, 재규어는 공대지/공대공을 지정하여 무장을 장착해야 했으므로 공대지 임무를 수행할 땐 자체 방어용 공대공 무장을 포기해야 할 경우가 많았다.

Su-17의 기수 부분. (출처: Rob Schleiffert/Wikimedia Commons)

Su-17의 기수 부분. (출처: Rob Schleiffert/Wikimedia Commons)

모든 Su-17 파생형에는 기본 무장으로 30mm NR-30 기관포 두 정이 동체 중앙부에 장착됐고, 총 여섯 개의 파일런이 설치되어 두 개는 주익 아래에, 네 개는 동체 하부에 무장을 장착하게끔 하였다. 개량형인 Su-17M4는 파일런이 열 개로 증가해 로켓과 폭탄을 혼용하여 장착할 수 있었으며, 최대 전투중량은 4,250kg에 달했다. Su-17과 Su-17M에는 ASP-5ND-7 라이플스코프(riflescope)가 설치되어 있었고, Su-17M2 형상에는 업그레이드된 ASP-17 라이플스코프가 설치됐다.

두 대의 외장 탱크와 두 기의 로켓포드, 250kg 폭탄 4발이 장착된 이집트 공군의 Su-20 배면 모습. 접혀있는 가변익이 F-14를 연상시킨다. (출처: Public Domain)

두 대의 외장 탱크와 두 기의 로켓포드, 250kg 폭탄 4발이 장착된 이집트 공군의 Su-20 배면 모습. 접혀있는 가변익이 F-14를 연상시킨다. (출처: Public Domain)

“피터(Fitter)” 시리즈의 최종 형상인 “피터-K”는 1960년대부터 소련 공군의 지상공격대대가 주력기로 운용했으며, 기본적인 설계부터 전방 기지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통칭 “스트리흐(Strizh)”로 불린 이 형상은 전투 범위가 타 형상보다 짧았지만 임무에 따라 32x57mm 접이식 핀(fin) 로켓을 탑재한 로켓 포드 4개를 장착하거나 4발의 공대공 미사일 및 폭탄을 장착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유도무기가 장착 가능하여 AS-7 지휘 유도식 미사일부터 AS-9 대방사 미사일까지 운용할 수 있었다. “피터-K” 시리즈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시기에 많이 운용됐는데, 이때 아프간 측이 어깨에 견착하여 쏠 수 있는 휴대용 열추적 미사일을 운용했으므로 피터-K에만 채프(chaff: 철가루) 및 전광탄 살포 장치가 설치됐다.

가장 최신형인 Su-22M4의 조종석 <출처: pinterest>“></p>
<dt>
    가장 최신형인 Su-22M4의 조종석 <출처: pinterest>
   </dt>
</dl></div>
<p>Su-17의 수출 형상에는 Su-20이나 22라는 번호가 붙었으며, 기본적으로는 성능이 유사하지만 전반적인 다운그레이드가 실시되어 판매됐다. 외양 상의 차이로 보면 대부분의 수출 형상은 조종석 뒤 등 부분의 경사가 내수용 형상보다 더 깊다.</p>
<div class=
가장 최신형인 Su-22M4의 조종석 <출처: pinterest>

운용 현황

Su-17 시리즈를 처음 운용한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침공 때 처음 Su-17을 전개했으며, 주로 근접항공지원(CAS: Close Air Support), 정찰, 지뢰 살포 및 지상 폭격 임무를 소화했다. Su-17은 아프간 전쟁에서의 경험을 반영하면서 채프(chaff; 쇳가루) 및 전광탄 살포기를 장착했고, 일부 취약 부분에 대해서도 장갑을 덧대는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이후 Su-17 시리즈는 MiG-23BN 및 MiG-27과 함께 소련이 가장 자주 운용한 주력 기체 중 하나가 되었으며, 쌍발 엔진 전투기인 Su-25가 도입되면서 근접항공지원 임무를 교대했고, Su-34가 도입되면서 폭격 임무를 교대했다. 소련은 Su-17의 마지막 형상인 Su-17M4와 MiG-23/27을 모두 1998년 경 퇴역시켰다.

동독 그로스 될른 항공기지에서 이륙중인 Su-17M4 편대. 이들 기체는 1994년 러시아로 복귀했다. <출처: Rob Schleiffert / Wikipedia>“></p>
<dt>
    동독 그로스 될른 항공기지에서 이륙중인 Su-17M4 편대. 이들 기체는 1994년 러시아로 복귀했다. <출처: Rob Schleiffert / Wikipedia>
   </dt>
</dl></div>
</p>
<p>Su-17 시리즈는 1990년까지 계속 양산됐으며 2,800대 가까운 수량이 양산됐다. Su-17은 여전히 폴란드나 베트남, 앙골라, 시리아, 우즈베크 공화국, 리비아 등지에서 운용 중이다. Su-17 시리즈는 수출용 형상이 별도로 제작된 점도 특징인데, 수출 형상은 보통 Su-20 혹은 Su-22로 명칭이 붙어 있었다.</p>
<p>최초로 Su-17 시리즈가 해외에 판매된 국가는 이라크로, 1980년 9월 22일부터 1988년 8월 20일까지 진행된 이란-이라크 전쟁 중 Su-17 수출용 형상인 Su-20과 Su-22가 이라크로 수출됐다. 이라크 공군은 이들 기체를 주로 지상공격 및 근접항공지원(CAS) 용도로 활용했다. 이란 공군의 F-14 톰캣(Tomcat) 전투기가 전쟁 기간 중 21대의 이라크 공군 Su-20/22를 격추했으며, 이란 공군의 F-4 팬텀(Phantom) II가 18대, 역시 이란 공군의 F-5 전투기가 3대를 격추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대로 이라크 공군의 Su-20도 1980년 10월 20일에 한 대의 이란 공군 소속 F-4E를 30mm 기관포로 격추한 기록이 존재한다.</p>
</p>
<div class=
이란 공군 소속의 Su-22 편대 <출처: flickr.com>“></p>
<dt>
    이란 공군 소속의 Su-22 편대 <출처: flickr.com>
   </dt>
</dl></div>
</p>
<p>이들 기체는 1991년 걸프전 때에도 일부 동원됐지만 이라크 공군 자체의 활약이 적었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1991년 2월 7일, 두 대의 Su-20/22 및 한 대의 Su-7이 미 공군 소속 F-15 이글의 공대공 미사일에 격추 당했다. 상당수의 Su-20/22는 지상에서 주기 중인 상태로 격추 당했으며, 일부 기체는 이란으로 피신한 것도 확인된다. 이라크 전쟁 후 다국적군이 쿠르드 난민을 보호하기 위해 실시했던 프로바이드 컴포트 작전(Operation Provide Comfort) 때에도 두 대의 Su-20/22가 미 공군 F-15C에 격추 당한 기록이 존재한다.</p>
<p>리비아 역시 1980년대에 Su-22를 도입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1981년 8월 19일, 시드라(Sidra)만에서 두 대의 리비아 공군 소속 Su-22가 미 해군의 F-14 두 대에게 격추 당하면서 ‘톰캣’의 역사적인 첫 실전 격추 기록의 희생물이 되었다. 1987년 10월에는 차드-리비아 분쟁 후 한 대의 리비아 공군 Su-22가 차드군이 보유하고 있던 FIM-92A 스팅어(Stinger) MAPADS에 격추 당한 적이 있으며, 격추 후 조종사였던 디야 알-딘(Diya al-Din)은 사출 후 체포되었다가 프랑스로 망명했다. 2011년 2월에는 역시 리비아 공군의 Su-22 한 대가 리비아 내전의 보복으로 벵가지(Benghazi) 도심지에 폭격을 명령 받았으나 조종사 두 사람이 명령 이행을 거부하고 사출해 버렸다. 이 시기에 리비아 공군의 Su-22는 리비아 정부군 측이 반군을 상대로 적극 활용했으나, 곧 국제 사회가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면서 활용 빈도가 크게 떨어졌다.</p>
</p>
<div class=
리비아 공군 소속의 Su-22M3. 리비아 공군은 미 해군 톰캣과의 교전에서 2대를 격추당했다. <출처: US Navy>“></p>
<dt>
    리비아 공군 소속의 Su-22M3. 리비아 공군은 미 해군 톰캣과의 교전에서 2대를 격추당했다. <출처: US Navy>
   </dt>
</dl></div>
</p>
<p>시리아는 1970년대부터 Su-20/22를 운용했으며, 이들 기체를 1973년 4차 중동전쟁(욤 키푸르 전쟁) 및 1982년 1차 레바논 전쟁 때 운용했다. 이들 기체 일부는 두 전쟁에서 이스라엘 공군에게 격추당했으며, 2012년 시리아 내전이 발생했을 때에도 Su-20/22가 시리아 반군을 상대로 운용되는 모습이 목격됐다. 2018년 7월 24일에는 시리아 공군 Su-22 한 대가 이스라엘 영공으로 넘어와 이스라엘 공군이 패트리엇 미사일로 격추하기도 했다.</p>
<p>소련은 1982년~83년경 아프리카의 앙골라에도 약 12대의 Su-20M을 공여했으나 사고 등으로 순식간에 6대로 줄어들었고, 1988년에는 두 대로 줄어들자 소련이 다시 14대의 Su-22M-4K와 2대의 Su-22UM-3K 기종을 1989년~1990년 사이에 제공했다. 1999년에는 벨라루스에서 다시 두 대의 Su-22UB와 4대의 Su-22M이 공여됐고, 1999년에는 슬로바키아를 통해 한 대가 추가되어 2001년까지 앙골라 공군은 약 10대의 Su-22M-4와 1대의 Su-22UM-3K를 보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기체는 앙골라가 반군 단체인 <앙골라 완전 독립을 위한 전국연합(UNITA)>과 전쟁에 돌입하면서 적극 운용했으며, 이 기간 중 다수의 기체가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격추 사실이 확인된 것은 1994년 11월 6일, 한 대의 Su-22가 후암보(Huambo) 공습 중 UNITA의 지대공 미사일에 명중하여 추락한 사례뿐이다. 당시 조종사는 사출에 성공했으며, 비행복을 벗어던지고 나체 상태로 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p>
</p>
<div class=
폴란드 공군의 Su-22. (출처: Łukasz Golowanow/Wikimedia Commons)

폴란드 공군의 Su-22. (출처: Łukasz Golowanow/Wikimedia Commons)

유럽에서는 폴란드 공군이 Su-22를 운용했으며, 2003년 8월 19일, 한 대의 Su-22M4K가 방공포대 연습 중 우군 사격에 당해 격추당한 사례가 있었다. 폴란드는 한때 Su-22를 전량 퇴역시키고 무인항공기로 교체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한동안 계속 이들 기체를 보유했으며, 2015년에는 12대의 Su-22M4와 4~6대의 Su-22UM3K만 선별하여 수명 연장과 기골 보강 작업을 실시했다. 하지만 당시 폴란드의 경제 상황 때문에 해당 기체의 현대화 작업은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 수명 연장이 되지 않은 기체 일부는 폴란드 내 여러 박물관에 기증됐다.

그 밖에 예멘이 Su-20을 도입하여 운용했으며, 2009년부터 후티 반군 문제가 발생하자 이때부터 이들 기체를 공습용으로 운용했다. 2009년 10월 5일에는 한 대의 Su-22가 임무 후 귀환하던 중 추락했는데, 당시 예멘 측은 기술 결함으로 추락했다고 발표했으나 후티 반군은 자신들이 격추했다고 발표해 진위 여부는 분명히 가려지지 않았다. 이후 2011년 9월 28일에는 예멘 공군 Su-22 한 대가 알리 압둘라 살레(Ali Abdullah Saleh, 1947~2017) 대통령 집권에 반대하던 한 원주민 부족에 격추당했으며, 조종사마저 생포 당했다. 2013년 2월 19일에는 역시 예멘 공군 Su-22 한 대가 훈련 임무 중 알 수 없는 이유로 산나(Sana’a) 시내로 추락해 12명의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2013년 5월 13일에도 한 대가 훈련 중 산나에 추락했지만 이때는 조종사만 사망했다.

파생형

Su-7IG(S-22I):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코드네임은 ‘피터(Fitter)-B’형. Su-7B의 가변익 기술시연기 형상.

Su-17의 시제기인 Su-7IG (수호이 모델명 S-22I) <출처: Сухой>“></p>
<dt>
    Su-17의 시제기인 Su-7IG (수호이 모델명 S-22I) <출처: Сухой>
   </dt>
</dl></div>
</p>
<p><strong>Su-17(S-32):</strong> NATO 코드네임 “피터-C”. 초기 양산형으로, 배면에 덮개가 달려있어 와이어와 장비가 탑재됐다. 엔진으로는 Su-7에 사용된 률카(Lyulka) AL-7F-1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1969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1973년까지 224대가 생산됐다.</p>
<p><strong>Su-17M(S-32M):</strong> NATO 코드네임 “피터-C”. 엔진을 신형 률카 AL-21F-3 엔진으로 교체했으며, 기수에 쌍둥이 피토(Pitot) 관이 설치되어 신형 항법장비와 Su-7BMK에도 장착됐던 SRD-5M 사거리 레이더가 탑재된 공격컴퓨터가 연동됐다. 최대 마하 2.1까지 비행이 가능하다. 1971년 12월 28일 초도 비행을 실시했으며, 수출용 형상은 Su-20으로 명명되어 1973년부터 실전 배치에 들어갔다.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양산되어 이집트, 폴란드, 시리아에 수출됐다. Su-17M은 개조된 동체와 후퇴익이 적용되었으며, 동체 중앙에 고무로 제작한 연료 탱크 세 개가 서로 연결되었고, 주익 양쪽 안에도 연료를 탑재했다. SPO-10 시레나(Sirena)-ZM 레이더 경고 수신기(RWR)와 ARK-15 토볼(Tobol) 무선 나침반이 장착됐다. Su-17M의 전투중량은 4톤에 달하며, 동체에 하드포인트 2개가 추가됐다. </p>
</p>
<div class=
수호이 공장의 활주로에서 포착된 Su-17M <출처: Сухой>“></p>
<dt>
    수호이 공장의 활주로에서 포착된 Su-17M <출처: Сухой>
   </dt>
</dl></div>
</p>
<p><strong>Su-17M-28:</strong> Kh-28 (NATO 코드네임 ‘AS-9 카일[Kyle]’) 대방사미사일 시험용 테스트베드 항공기.</p>
<p><strong>Su-17MKG:</strong> Kh-25(NATO 코드네임 ‘AS-10 ‘카렌[karen]’) 및 Kh-29 (‘AS-14 ‘켓지[Kedge]’) 미사일 시험용 테스트베드 항공기.</p>
<p><strong>Su-17R:</strong> 정찰용 포드를 장착한 형상으로, 수출용 형상에는 Su-20R이라는 번호가 붙었다.</p>
</p>
<div class=
NATO에서

NATO에서 “피터-H(Fitter-H)”로 부른 Su-20R 기체. 2013년 폴란드 바르샤바 인근 한 주유소 주변에서 촬영된 사진으로, 당시 이 기체는 복원 작업을 거친 후 도색과 마킹 작업을 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출처: Alan Wilson/Wikimedia Commons)

S-17M2(S-32M2): NATO 코드네임 ‘피터(Fitter)-D’. 기수가 약 38cm 정도 늘어났고, 사거리 레이더를 제거했으며 기수 앞부분을 아래로 살짝 꺾어 조종석 시야를 넓혔다. 폰(Fon)-1400 레이저 거리측정기/표시표적추적기(LRMTS)가 장착됐고, ASP-17 및 PBK-3-17 조준용 항전체계, RSBN-6S 단거리 항법 및 계기착륙시스템이 설치됐다. 기수 아래 페어링에는 DISS-7 도플러 레이더가 들어갔다. 초도 비행은 1973년 12월 20일에 실시했으며, 1974년부터 1977년까지 양산됐고 1975년부터 실전에 배치됐다.

Su-17M2D: MiG-23에도 장착된 25,335파운드 출력의 투만스키(Tumansky)/카챠투로프(Katchaturov) R-29BS-300 엔진 시험용 기체. 하지만 성능이 만족스럽게 나오지 않은 데다가 연료 소모량이 커 항속 거리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수출용 형상에만 장착했다. 1975년 1월 31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으며, 수출용 형상은 Su-22로 명명해 1977년~1978년 사이에 생산했다.

Su-17UM(S-52U): NATO 코드네임 “피터-E”. Su-17 시리즈의 첫 복좌식 훈련기로, 기본 형상은 Su-17M2지만 동체 안쪽이 깊고 방풍 유리가 앞쪽으로 이동했다. 내부 연료 역시 후방 좌석 설치로 줄어들었으며, 동체 우측에 설치한 기관포는 제거했으나 항전장비나 기타 무장은 그대로 유지했다. 1975년 8월 15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으며, 시험 비행 중 높은 받음각에선 종(縱) 방향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이 발견되어 수평 미익 크기를 키웠다. 수출 형상에는 R-29 엔진을 장착하여 Su-22로 명명했으며,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양산했다. 1976년부터 실전 배치에 들어갔다.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줄라니(Zhulhany) 박물관 야외에 주기된 Su-17UM-3의 모습. (출처: Aeroprints.com)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줄라니(Zhulhany) 박물관 야외에 주기된 Su-17UM-3의 모습. (출처: Aeroprints.com)

Su-17M3(S-52): NATO 코드네임 “피터-H”. 기본적으로는 Su-17UM 동체를 개조했으나, 후방석 자리에 항전장비 및 4,850리터 연료 탱크가 장착됐다. 기수 외부 페어링 안에 넣었던 도플러 레이더를 동체 내부로 집어넣고 페어링을 제거했으며, 클렌(Klen)-P” 레이저 거리측정기/표적지시기를 장착했다. 양쪽 주익 파일런 사이에 빔펠(Vympel) K-13 단거리 적외선유도식 공대공미사일과 몰니야(Molniya) R-60 단거리 적외선유도식 공대공미사일 발사용 레일을 달았다. 1976년 6월 30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다. 수출 형상에는 R-29 엔진이 설치됐으며, 다운그레이드 된 항전장비가 설치되어 Su-22M(NATO 코드네임 “피터-J”)으로 명명됐다. 이후 Su-17M3의 항전체계가 설치된 수출 형상만 Su-22M3으로 명명됐다. Su-17/Su-22M/Su-22M3 형상은 Su-17 시리즈 중 가장 많이 양산된 파생형으로, 도합 1,000대 이상이 제작됐다.

전 리비아 아랍 공화국 공군의 Su-22M3. (출처: Chris Lofting/Wikipedia.org)

전 리비아 아랍 공화국 공군의 Su-22M3. (출처: Chris Lofting/Wikipedia.org)

Su-17UM(S-52UM): Su-17M과 동일한 항전장비가 설치된 초기 훈련용 형상. 수출용 형상에는 R-29 엔진이 장착되어 Su-22UM3로 명명됐으며, 일부 AL-21 엔진이 장착된 기종은 Su-22UM3K로 명명되어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생산됐다.

Su-22UM3 <출처: Rob Schleiffert / Wikipedia>“></p>
<dt>
    Su-22UM3 <출처: Rob Schleiffert / Wikipedia>
   </dt>
</dl></div>
<p><strong>Su-17M4(S-54):</strong> NATO 코드네임 “피터-K”. Su-17 시리즈의 최종 양산 형상으로, RSDN 항법장비(서방의 LORAN과 유사), 비컨(beacon) 항법장비, 관성항법장비, 클리온(Klyon)-54 레이저 거리측정기, 무선 나침반, SPO-15LE “시레나(Sirena)” 레이더 경고 수신기(RWR) 등 항전장비가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상당수의 기체는 텔레비전 유도방식 미사일 및 대방사 미사일을 운용할 장비가 갖추어져 있었다. AL-21F-3 엔진이 장착된 수출 형상에는 Su-22M4라는 명칭이 부여됐으며, 1980년 6월 19일에 초도 비행을 성공한 후 1981년부터 1988년까지 양산됐다. 수출 형상인 Su-22M4는 1983년부터 1990년까지 제작했다. M4와 M3 형상의 차이는 우선 엔진 흡입구 콘(cone) 통제장치를 제거해버렸다는 점으로, 이 조치로 최고 속도 마하 1.75를 넘길 수 있게 되었다. 흡입구 콘 안에는 클리온-54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설치되었고, 항법 및 항전장비가 대폭 개선됐다.</p>
<div class=
체코 공군의 Su-22M4. 1995년 RIAT 에어쇼에 참가했을 당시 촬영된 것이다. 두 기체 모두 2000년 6월 16일 자로 퇴역했다. (출처: Mike Freer/Wikimedia Commons)

체코 공군의 Su-22M4. 1995년 RIAT 에어쇼에 참가했을 당시 촬영된 것이다. 두 기체 모두 2000년 6월 16일 자로 퇴역했다. (출처: Mike Freer/Wikimedia Commons)

Su-20: Su-17M(S-32MK)의 최초 수출 형상.

Su-22M5: 기존 Su-17 운용국에게 러시아-프랑스 공동으로 제안한 업그레이드 패키지. 조종석을 디지털화하고, HOTAS(Hands-on Throttle and Stick)를 설치하며, 항전장비를 교체하고,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파조트론(Phazotron)/톰슨-CSF(現 탈레스) 레이더로 교체했다.

Su-22U: 복좌식 훈련기 형상으로, Su-17UM의 수출 형상이다. 기수를 완전히 새로 설계했으며, 복좌로 좌석을 설치해 훈련생/교관의 탑승이 가능하다. GSh-23에 기반한 UPK-23이나 SPPU-22 건포드(gun pod) 장착이 가능하며, SPPU-22는 회전 반경이 30도에 달한다.

폴란드 공군의 Su-22UM3K <출처: Военное дело>“></p>
<dt>
    폴란드 공군의 Su-22UM3K <출처: Военное дело>
   </dt>
</dl></div>
</p>
<p><strong>Su-17 고정익 시험기:</strong> Su-17M 동체에 고정익을 설치한 시험용 형상. 탑재 중량과 항속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변익 시스템을 제거해버린 것으로, 1973년 시험 비행 당시 준수한 평가를 받았지만 후속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p>
<p><strong>Su-17 전술 정찰 형상:</strong> 형상을 막론하고 KKR(통합 정찰포드, Kombinirovannyi Konteiner Razvedky)을 동체 하부 중앙 하드포인트에 장착을 하면 정찰기로 운용이 가능했다.</p>
</p>
<p><font size=수호이 설계국 내부 제식 지정 형상

S-22I: Su-7BM 양산기를 개조하여 가변익을 설치한 최초의 시제기. 1966년 8월 2일에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S-32: 초도 양산 형상. 소비에트 연방 공군(VVS)은 SU-17로 불렀다.

S-32M: Su-17에 률카 AL-21F 엔진을 장착하고, 동체를 재설계 해 약간의 개조를 가한 형상. 연료량이 크게 증가했고 무기 거치 공간도 늘었다.

Su-32MK: 무장을 변경하고 항전장비를 단순화 한 Su-20의 수출용 형상. 1972년 12월 15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다.

S-32MK 하이브리드(Hybrid): S-32MK 동체를 활용하여 제작했으며, Su-7BMK의 고정익을 장착했다. 유지 관리가 덜 복잡한 S-20의 저가형 형상으로 해외 수출을 노렸으나 한 건도 성사되지 못했다. 단 한 대(f/n 9500)만 제작되었으며, 양산 단계로 넘어가지 못했다.

S-32M2: Su-17M의 비행통제장치가 개선되고, 무장조준장비가 설치된 형상.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소량이 양산됐다.

S-32M2K: Su-17M2에 투만스키(Tumansky) R-29BS-300 엔진을 장착한 Su-22 수출 형상.

S-32M2D: Su-17에 스키 랜딩기어를 장착한 시험기. 거친 지형에서 이착륙을 할 수 있는 테스트 기체만 제작됐다.

Su-52U: Su-17UM/Su-22U 복좌식 전투기 형상에서 기수를 재설계하고 두 좌석을 훈련생/교관석으로 개조한 형상.

S-52: Su-17M3가 신형 공격기 형상으로 개발되면서 이에 맞춰 개발한 훈련기.

S-52K: Su-22M으로 수출되던 S-52의 수출용 형상.

S-52M3K: Su-22M3에 레이저 거리측정기 및 항전장비류를 개선한 형상.

S-52UK: S-32M2K의 구조를 개선하고, 운용 가능한 무장을 대폭 줄인 훈련기 형상.

S-52UM3: 항전장비를 개선하고 항공역학적으로 재설계한 Su-17UM의 러시아 공군용 형상.

S-52R: KKR(통합 정찰포드)를 장착한 S-17M3R의 전술 정찰용 형상.

S-54: Su-18M4 전폭기의 양산 형상.

S-54K: Su-17M4의 수출 형상으로, 양산기는 Su-22M4로 명명됐다.

S-54R: Su-17M4R에 KKR 포드를 장착한 전술 정찰 형상.

제원

용도: 전폭기
제조사: 수호이 설계국
전장: 19.02m
전고: 5.12m
날개 길이: 13.68m
날개 면적: 38.5㎡(전개 시)/34.5㎡(접었을 시)
날개 종류: TsAGI SR-3S(5.9%)
자체 중량: 12,160kg
총중량: 16,400kg
최대 이륙 중량: 19,430kg
최대 연료량: 3,770kg
추진체계: 17,200파운드급 률카(Lyulka) AL-21F-3 애프터버너 터보 제트 엔진 x 1
최고 속도: 마하 1.13(1,400km/h, 해수면 높이) / 1,860km/h(고도)
전투 범위: 1,150km(hi-lo-hi 공격, 2,000kg 무장 탑재 시)
실용 상승 한도: 14,200m
중력 한계: +7G
상승률: 230m/s
날개 하중: 443kg/㎡
추력 대비 중량: 0.68
기본 무장: 30mm 누델만-리히터(Nudelman-Rikhter) 30mm NR-30 기관포 x 2(각 80발)
                그리야체프-쉬프노프 GSh-23L 기관포(UPK-23 혹은 SPPU-22 건포드 장착)
하드포인트: 12개(최대 4,000kg 장착)
탑재 무장:
              ㄴ빔펠(Vympel) K-13 단거리 적외선유도식 공대공미사일
              ㄴ몰니야(Molniya) R-60 단거리 적외선유도식 공대공미사일
              ㄴ빔펠 R-73 단거리 공대공미사일
              ㄴ즈베즈다(Zvezda) Kh-23 그롬(Grom) 전술 공대지/공대함 미사일
              ㄴ즈베즈다-스트렐라(Strela) Kh-25ML 전술 공대지미사일
              ㄴ빔펠 Kh-29L/T/D 전술 유도식 공대지미사일
              ㄴ라두가(Raduga) Kh-58 공중투발식 대방사 공대지미사일
              ㄴ즈베즈다-스트렐라 Kh-27PS 대방사미사일
              ㄴ라두가 Kh-28 공중투발식 대방사미사일
              ㄴ기타 재래식폭탄, 레이더유도폭탄, 전자광학폭탄, 네이팜, 클러스터 폭탄 등
              ㄴ S-5/8/13 로켓

저자 소개

윤상용 | 군사 칼럼니스트

Su-17 / Su-22 전폭기

예비역 대위로 현재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머서스버그 아카데미(Mercersburg Academy) 및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 국제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육군 통역사관 2기로 임관하여 육군 제3야전군사령부에서 군사령관 전속 통역장교로 근무했으며, 미 육군성에서 수여하는 육군근무유공훈장(Army Achievement Medal)을 수훈했다. 주간 경제지인 《이코노믹 리뷰》에 칼럼 ‘밀리터리 노트’를 연재 중이며, 역서로는 『명장의 코드』, 『영화 속의 국제정치』(공역), 『아메리칸 스나이퍼』(공역), 『이런 전쟁』(공역)이 있다.

CP-2023-0230@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구JP/2] 랭킹 뉴스

  • “출시한지 1년도 안됐는데..” 싼타페 2세대 PHEV 수준에 아빠들 ‘난리’
  • LS이모빌리티솔루션 멕시코에 전기차 부품 공장…2030년 1조 매출 목표
  • KAIST, ‘생성 AI와 헬스케어의 미래’ 워크숍 개최
  • 동아일보, 한동훈 향해 “정치 신인이 나쁜 것부터 배웠다”
  • 애플, 혼합현실 헤드셋 ‘비전프로’ 출시!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진짜 나온다고?!” 제네시스 전기 스포츠카, 엑스 컨버터블 출시!!

최신 뉴스

  • 130年ぶりの異常事態!富士山が11月に雪なし
  • 愛子さま、大学卒業後の新たな挑戦!皇女としての役割とは?
  • バイデン、最後の50日で恩赦を連発する可能性大!
  • 戦争の傷跡を乗り越えたドレスデンの美しさ
  • 新春の学習チャンス!ギャラリア百貨店センターシティで新しい趣味を見つけよう 안녕하세요
  • 「 」に出演する8人の占い師たち、そのユニークな魅力とは?一挙公開!

함께 볼만한 뉴스

금주BEST인기글

지금 뜨는 뉴스

[구JP/2] 랭킹 뉴스

  • “출시한지 1년도 안됐는데..” 싼타페 2세대 PHEV 수준에 아빠들 ‘난리’
  • LS이모빌리티솔루션 멕시코에 전기차 부품 공장…2030년 1조 매출 목표
  • KAIST, ‘생성 AI와 헬스케어의 미래’ 워크숍 개최
  • 동아일보, 한동훈 향해 “정치 신인이 나쁜 것부터 배웠다”
  • 애플, 혼합현실 헤드셋 ‘비전프로’ 출시!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진짜 나온다고?!” 제네시스 전기 스포츠카, 엑스 컨버터블 출시!!

함께 볼만한 뉴스

금주BEST인기글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