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핵심은 미래에 대한 상상
이건희, 소아암 극복 등에 1조
JY ‘동행’ 철학 뿌리도 신경영
“1999년 스마트폰 대수는 0개였으나 현재는 무려 55억대가 보급되고 있다. 사물이 다른 것으로 변화할 수 있는 세상을 전제로 하는 ‘경영’의 핵심은 이 같은 상상에 기인한다.”
로저 마틴 토론토대 경영대학원 명예교수가 18일 서울 서초구 삼성 서초사옥에서 한국영영학회 주최로 열린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던진 말이다.
마틴 교수는 “이건희 선대회장은 과거에 묶여있지 않았다. 과거에만 얽매였다면 오늘날과 같은 (스마트폰) 제품을 판매하지 않았을 것”며 “기술의 격차가 줄어들 때의 제품은 디자인이 이끌 것이라는 전망도 전략가다운 행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이 선대회장은 하나의 모범 사례가 될 만한 리더”라며 “삼성이 잘하지 못했던 분야를 선정해 단순히 이를 더 발전시키겠다는 것이 아니라, 최고가 되고 초일류가 되겠다고 목표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말뿐이고 달성하지 않았다면 단순히 비현실적인 사람이라고 이야기했겠지만, 이 선대회장은 실제로 달성했기 때문에 인상 깊었다”고 했다. 이 같은 이 선대회장의 리더십을 마틴 명예교수는 홈런을 치겠다고 예고하고 실제로 홈런을 날린 미국의 전설적인 야구 선수 베이브 루스에 비유했다.
이건희 선대회장의 ‘신경영’은 오늘날 삼성에게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밝혔다. 30년 전과 비교해 기업 규모와 인력이 늘어난 만큼 직원들의 몰입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게 마틴 교수의 설명이다.
이런 기준에 비춰볼 때 삼성이 지금 잘하고 있는지 묻자 마틴 명예교수는 “확실하게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삼성은 매우 견실한 기업이고, 인재 제일 문화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많은 기업이 규모를 키우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인재 중시에는 상대적으로 시간을 적게 할애한다”며 “직접 삼성의 인재개발원을 돌아보고 삼성이 얼마나 인재에 헌신하는지 몸소 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학술회에선 신경영에 담긴 윤리정신에 대한 평가도 이어졌다. 사회적 약자와 함께하는 삼성의 ‘동행 철학’ 역시 신경영에서 시작됐다는 얘기다.
김태완 카네기멜런대 경영윤리 교수는 삼성의 어린이집 사업에서 윤리경영의 특징 3가지를 제시했다. 윤리를 이윤의 도구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윤리 그 자체를 목적으로 둔 사회 공언이자 기업 홍보를 목적으로 한 사회공헌이 아닌 달동네를 위한 윤리적 동기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AI(인공지능) 윤리가 중요해지는 만큼 관련 인재를 발굴하고 삼성 내부에 윤리 전문가로 이뤄진 지속가능경영 전담팀 구성을 제안했다.
김상근 연세대 신학대 교수는 이 선대회장의 대규모 사회환원에 주목했다. 이 선대회장의 유족들은 2021년 미술품 2만3000점을 국가기관 등에 기증하고, 감염병 및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을 위해 총 1조 원을 기부하는 등 사회환원에 앞장섰다.
김 교수는 “이 선대회장이 단순히 투자로서 미술품을 사는 게 아니라 국민과 나누고 싶다는 근본적인 의미가 있다”며 “이러한 본질을 보려는 정신이 삼성의 경영 문화로도 정착됐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