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고보드] |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지난해 10대 증권사는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주식과 채권, 파생상품 담당 임직원에게 지급한 상여금만 82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업권과 사업장별로 과도한 성과급 사례가 있는지 살펴보겠다는 방침이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대 증권사(미래에셋·한국투자·NH투자·삼성·KB·하나·메리츠·키움·신한투자·대신)의 고유자산운용부서(주식·채권·파생 포함) 임직원이 받은 상여금 규모는 최근 5년간(2018∼2022년) 3018억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상여금은 2018년 469억4500만원, 2019년 447억3900만원, 2020년 552억7800만원, 2021년 728억5000만원, 2022년 819억9100만원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증권사별로는 ▷메리츠(694억3100만원) ▷하나(629억5300만원) ▷KB(413억5500만원) ▷삼성(329억2100만원) ▷신한투자(296억8100만원) ▷한국투자(228억3100만원) ▷NH투자(194억7400만원) ▷미래에셋(150억8200만원) ▷키움(63억5000만원) ▷대신(17억25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증권사들은 2020년∼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개인 투자자의 주식 열풍에 힘입어 사상 최대 실적을 누렸다. 그러나 2021년 말부터 증시 부진과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2022년 순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금감원이 발표한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2022년 증권회사(58개사) 당기순이익은 4조5천131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전년(9조896억원) 대비 50.3% 감소했다.
이같은 실적 부진에도 성과급 지급 규모가 계속 늘어난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증권사들은 특히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확대되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었고, 이에 금융당국은 올해 초 성과급 지급 현황을 점검받기도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달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부동산 경기 침체기에 증권사 임직원이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지적에 대해 “잘못 설계된 체계로 인해 과도한 성과급이 지급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업권과 사업장별로 과도한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