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나항공 이사회가 코로나 기간 회사를 주도적으로 운영해 온 화물사업의 매각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아시아나 내부 및 업계 일각에서는 국가적 손해라는 비판도 나오지만, 사실상 아시아나의 독자생존이 가능한지를 따지면 합병 불발 시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게다가 산업은행 역시 합병 불발 시 아시아나에 추가 지원은 없다는 입장으로 알려져 이사회로서는 화물사업 매각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화물 매각보다 더 큰 사안은 EU와 미국, 일본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합병 승인 여부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반독점행위를 이유로 소송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2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원유석 대표이사를 포함해 6인으로 구성된 아시아나 이사회는 오는 30일 예정된 임시 이사회에서 화물사업의 매각 의결 여부에 사실상 찬성할 것으로 관측된다.
표면적으로는 사업 매각 하나만 놓고 고민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화물 매각에 이어 합병 불발 시 홀로서기 활로가 있는지 등 두 개의 산에 봉착했다.
◆ 이사회, 화물매각 찬성 관측…홀로서기 활로 불투명
첫 번째 화물 매각을 놓고서는 이를 팔지 않고 1800%를 육박하는 부채비율과 차입금 이자 상환 부담도 지속하는 재무상태를 극복할 방안이 마땅치 않은 게 현실이다. 무엇보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전날 진행된 국정 감사에서 “이사회가 (화물사업을) 살리기로 의결하면 또 국민의 혈세 또는 공적자금이 얼마나 투입될지 알 수 없다”라면서 이사회를 향해 강한 메시지를 날렸다. 아시아나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는 셈이다.
아시아나의 2분기 별도기준 부채비율은 1741.3%로 타 항공사 대비 훨씬 높다. 대한항공만 하더라도 200%대이며, 세계 1위 항공사인 델타항공은 800% 수준이다. 최근 단기차입금 2조5000억원에서 7000억원을 상환했지만, 이로 인해 가용 현금이 줄었으며 자회사인 에어서울에 자금도 빌려준 상태다.
이런 아시아나가 대한항공과 합병 불발 시 과거의 영광을 되찾아 홀로 항공업계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시아나는 지난 2019년 수익성 개선을 위해 퍼스트 클래스도 폐지하는 등 풀서비스캐리어(FSC)로서 특징 일부를 포기한 바 있다. 화물사업은 알짜임이 분명하지만 현재의 출혈을 감당해 더 큰 부상을 예방해야 한다는 논리다.
◆ 합병 불발 시 경쟁력 의문…한진해운 악몽 재현 우려도
두 번째는 합병 불발 시 문제다. 대한항공이 EU의 우려를 고려해 아시아나 화물 매각 관련 내용을 담은 시정서를 제출했음에도 예기치 못하게 미국 등에서 불승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전날 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강 회장에게 “미국 법무부가 아시아나에 반독점행위를 이유로 소송할 수 있다는 보도가 있다”고 질의했다. 이에 강 회장은 “만일 소송이 이뤄진다면 이번이 마지막 트라이(시도)라며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지난 5월 미국 인터넷 매체 폴리티코는 소식통을 인용해 법무부가 대한항공이 아시아나를 인수할 경우 반독점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사실상 EU는 화물매각 계획을 전달하면 조건부 승인을 해줄 것으로 보인다. 매각을 비롯한 이행 조치가 시행됐을 때 합병을 최종 승인해주는 방향이 예상된다. 통상 미국과 일본도 같은 선택을 할 것이라는 게 업계 통용되는 전망이지만 일말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는 것이다.
만약 합병이 불발되면 사실상 제3자 매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업계에서는 과거 한진해운 사태를 떠올리는 시각도 적지 않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이 문제는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아시아나에 불리하다”면서 “만약 합병 불발 시 지난 3년간 관련 이슈로 아무것도 못하고 더 힘들어진 면도 있어 구조조정 등 추가 조치가 이어질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