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지속 우려
카카오모빌리티가 결국 가맹택시 수수료를 전면 개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계속된 적자 상황에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수수료만큼은 인하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지만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며 독과점이라고 지적하자 포기한 모습이다.
2일 카카오모빌리티는 긴급 간담회를 개최하기 위해 주요 택시단체 등과 일정을 조율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간담회에서 가맹택시 수수료 등 택시 수수료 체계 전면 개편을 위한 의견을 수렴한 뒤 관련 작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이같은 결정은 윤 대통령의 독과점 발언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전날(1일)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카카오 택시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한 횡포가 너무 심하다’는 한 개인택시 기사의 지적에 대해 “카카오의 택시에 대한 횡포는 매우 부도덕하다”면서 “이 부도덕한 행태에 대해선 반드시 정부가 제재를 해야 된다”고 했다.
문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이같이 지탄받는 겉모습과 달리 적자기업이라는 점이다. 가맹 택시 매출의 20%를 로열티 명목으로 걷지만 택시운수회사가 데이터 제공을 약속하면 16~17%를 돌려준다. 택시사업자가 실제 부담하는 수수료는 3~4%에 그쳐 수익성이 낮은 편이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수익성 악화는 재무제표에도 드러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난해 매출은 7915억원에 달하지만 당기순손실이 277억원이다. 매출 규모는 계속 커지고 있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부과한 257억원의 과징금으로 인해 적자 상태다. 과징금을 제하고도 영업이익은 거의 늘지 않았다.
갖은 논란으로 카카오모빌리티의 사업 전망은 밝지 않다. IPO를 앞두고 있었지만 금융감독원이 매출을 부풀렸다는 분식회계 의혹을 제기하면서 상장 절차는 중지됐다. 공정위는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행위를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판단해 기소 의견의 심사보고서를 검찰애 보냈다. 공정위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스타트업 화물맨의 아이디어를 도용했다는 의혹도 들여다보는 중이다.
택시 업계를 만나 수수료 인하를 논의하겠다고 했지만 이마저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기 어렵다. 택시 업계는 수수료 인하보다 수수료 체계나 매출 산정 방식, 배차 알고리즘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가맹 택시와 비가맹 택시 간 의견 차이도 커서 카카오모빌리티 입장에선 뾰족한 수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모빌리티 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선 신사업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8년 ‘카풀’이라는 이름으로 우버 서비스를 시도했으나 정부 규제와 택시 업계의 반발에 막혀 포기한 바 있다. 2021년에는 ‘스마트 호출’이라는 이름으로 탄력요금제를 시도했으나 택시 요금 인상이라는 반발로 중단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2009년 캘리포니아주에 우버가 처음 등장했을 때 택시 업계의 반발이 극심했으나 주는 일단 신산업을 허용하고 나중에 규제하기로 했다”며 “결국 우버는 성공했고 미국 택시 업계도 우버와 경쟁하기 위해 저렴한 요금제를 내놓는 등 선의의 경쟁이 이어지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아직 신사업에 대해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수수료 문제에 대한 우려가 각계에서 크다보니 내부적으로도 개편 의지가 있었다. 딱히 아젠다를 정해놓지 않고 택시 업계를 만나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분식회계 논란과 관련해서도 “회계감사를 받을 때 이 부분에 대해 적정 판단을 받은 바 있다”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