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내년에도 충분히 장기간 긴축기조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연합] |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한국은행은 29일 내년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에 대해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2%)에서 안정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충분히 장기간 긴축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2024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에서 “물가상승률이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가겠지만, 내년 4분기 이후에나 목표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가계부채에도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는 점을 고려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은 향후 기준금리 운용 계획에 대해 “통화긴축의 강도 및 지속 기간은 물가 흐름과 함께 경기 상황,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할 것”이라며 “가계부채 누증 위험과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큰 일부 비은행금융기관 리스크에도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은은 또 이번 발표에서 내년 대외여건 전망을 지난 11월 말 금융통화위원회 때 발표한 경제 전망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했다. 한은은 “수출·설비투자는 반도체경기 반등, 주요국의 신성장산업 관련 투자 확대 등으로 개선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취업자수는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되겠으나, 여성과 고령층의 노동공급이 지속되면서 둔화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제공] |
내년 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각각 2%대 중반 및 2%대 초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봤다. 국내 물가는 수요측 물가압력 약화 등으로 추세적 둔화 흐름이 지속되겠으나, 그간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의 가격 전가 등으로 둔화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금융시스템은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겠지만 부동산 PF 등과 관련한 리스크는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금융시스템은 규제수준을 상회하는 높은 자본비율을 고려할 때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다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과 관련한 유동성 및 신용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이 잠재돼 있다. 또한 높은 금리 수준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한계기업 및 취약가구의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가계대출 수준 또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금융기관 대출은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증가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계대출은 은행 주택관련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되겠으나, 기업대출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취약부문에 대한 리스크 관리 등으로 올해 수준의 증가폭을 나타낼 것”이라고 했다.
[연합] |
한은은 ‘한국은행법 제6조’에 따라 매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수립해 금융통화위원회 의결을 거쳐 공표해오고 있다.
추가로 한은은 내년 8차례 예정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시마다 금통위에서 논의된 주요 금융·경제 현안 분석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내년 1월부터 금통위 회의 이후 7일 뒤에 한은 홈페이지를 통해 금통위 회의에서 보고된 핵심 내용을 요약 형태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책 커뮤니케이션 효율화를 위해 ‘통화신용정책보고서’는 발간 주기를 당초 연 4회에서 연 2회로 변경한다. 주요국 사례 등을 참고해 경제전망, 정책방향 등에 대한 정보 제공 강화 노력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공개시장운영 유효성 제고를 위해 새마을금고중앙회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정보도 적극 수집한다. 한은은 “비은행금융기관의 통화정책 파급경로 등에 대한 영향력이 확대된 점을 고려해 공개시장운영 대상기관에 자산운용사,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중앙회 등을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내년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점검과 조기경보 기능을 강화하고, 필요시 시장안정화 조치도 적기에 시행하겠다는 방침이다. 한은은 “미시 데이터를 추가하여 통합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을 개선하고 고빈도 데이터 및 AI를 활용한 리스크 조기식별 노력도 지속한다”며 “공동검사 등을 통해 가계·기업 부채 리스크, 부동산PF·건설 부문 부실, 비은행금융기관의 유동성·신용 리스크 등을 다각도로 분석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