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나이 드신 분들에게도 이제 치아 교정은 일상이 됐다. 치아 교정은 어릴 때, 젊을 때 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노년층까지 범위가 확장됐다. 과거 노년층은 구강에 남은 치아가 없을 정도로 구강 내 건강이 안 좋았다. 요즘 노년층은 치아는 잘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교정 치료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돼 나이가 들어서 교정 치료를 받아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아 교정을 받으러 오는 노년층 중 많은 이는 선행 치료로 교정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찾는다. 이미 상실된 치아를 임플란트 등으로 회복하고자 하는데, 치아 배열이나 공간이 맞지 않아 치아 교정을 먼저 해야 할 때 교정 치료가 필요하다.
강윤구 강동경희대치과병원 교정과 교수는 “이외에도 최근에는 양치가 더 잘 되게 하기 위해 치아를 바르게 펴거나, 심미적 이유로 치아를 바르게 펴고자 치아 교정을 찾는 노년 환자들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치아 교정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치주질환으로 잇몸뼈가 지나치게 망가져 있다면 교정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다. 치아 뿌리 기준으로 절반 정도만 잇몸뼈가 있어도 교정 치료가 가능하다. 여기에 교정을 위해 움직이려는 치아 부위에 과거에 심은 임플란트가 있는 경우 교정 치료가 불가능하다. 이 두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젊은 환자처럼 치아 교정이 가능하다.
노년이 되면 신체가 안정화돼 치아 교정과 같은 구강 내 구조의 변화는 그 자체로 불편감이 클 수 있다. 강 교수는 “반드시 모든 노년층이 그런 것은 아닌데 치료 중간 치아 맞물림의 변화도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며 “교정 치료받으려는 노년층은 젊은 층에 비해 불편감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치아 교정에 어려움이 있는 사례는 있다. 기저 질환, 복용 약에 따라 교정 치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당뇨병으로 인해 잇몸뼈가 약화한 경우라면 조금 더 조심스럽게 교정 치료를 결정해야 한다.
골다공증 환자라면 치아 이동은 문제가 없는데 교정이 끝난 후 다시 치아가 원래 자리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 일부 골다공증 치료제는 치아 이동을 저하할 수 있다. 치아 교정을 하기 전에 반드시 본인의 질환이나 복용 중인 약에 대한 설명을 담당 전문의에게 알려야 한다.
교정 치료받으러 온 노년층도 대부분 ‘덜 불편하고, 덜 보이는 장치’를 선호한다. 이런 요청이 있을 때는 특수 코팅된 와이어를 이용하는 교정 치료가 있다. 브라켓이라고 하는 일반 교정 장치보다 돌출된 모서리가 없어 편하고 부피감이 적다.
철사만 한 줄이 붙어 있는 것으로 보여 겉으로 보기에도 장치가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는다. 그 외에도 간단하게 치아 안쪽으로 붙여서 보이지 않는 교정 장치, 투명 교정이라 하여 착탈식으로 투명한 틀을 치아에 끼워서 하는 교정 장치 등 불편감이 적고 심미적으로도 크게 문제가 될 것이 없는 장치들이 있다.
강윤구 교수는 “노년층 환자들은 치아 이동으로 인한 불편감, 통증이 젊은 환자에 비해 심한 경향이 있다”며 “개개인의 잇몸 상태나 치아 상태에 따라 치아 이동에 필요한 교정 장치의 디자인, 교정 힘의 강도, 내원 주기 등을 조절해 맞춤 치료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