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 2일 수소융합얼라이언스가 주관한 제2회 수소의 날 기념행사에서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제주도청 제공] |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수소 생태계 선점과 청정수소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그린수소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달 23일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데 이어, 지난 2일 ‘수소의 날’에는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유일하게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7일 제주도청에 따르면 제주도는 지난 2일 수소융합얼라이언스가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국회수소경제포럼이 후원한 ‘제2회 수소의 날’ 기념행사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이번 수상을 통해 제주도는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한 국내 최초 그린수소 생태계 조성과 상용화에 힘쓰고, 정부의 ‘청정수소 생테계 조성방안’ 등 국가 정책 이행과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번 행사에선 정부 포상 및 공모전 수상작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으며, 제주도는 지자체 중 유일하게 기관에 수여되는 대통령 표창 이상의 포상을 받았다.
올해 2회를 맞은 수소의 날은 지난해 11월 2일 수소정책 추진 의의 확립과 수소경제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목표로 정부에 의해 지정됐다. 이를 공식화하기 위해 국회에서 의결된 ‘수소 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 또한 지난달 31일 공표됐다.
제주도는 지난해 9월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에 이어 올해 1월 ‘에너지전환 로드맵’을 발표하는 등 기존의 전력 중심 에너지 체계를 청정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지난 9월 4일 행원 그린수소 생산시설과 함덕 수소충전소를 방문해 지역주민들과 함께 그린수소 생산과정과 그린수소 버스 운행과정을 점검하고 있다. [제주도청 제공] |
제주도는 특히, 전국 최초로 재생에너지를 연계한 3.3메가와트(MW) 그린수소 생산 체계의 구축과 더불어 그린수소를 이용하는 수소 버스까지 도민들이 이용하면서 국내 최초로 청정수소 생태계가 구축된 곳이기도 하다.
제주도는 또한 지난달 23~25일에는 2박 3일에 걸쳐 열린 ‘2023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그린수소 에너지 전환에 대한 글로벌 리더 역할에 한 발 더 다가섰다.
오영훈 제주지사가 지난달 23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개회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제주도청 제공] |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특히 포럼에서 기업인들의 적극적인 수소 경제 참여를 독려하기도 했다. 오 지사는 지난 23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포럼 개회식에서 환영사를 통해 “이번 포럼은 제주가 그린수소 에너지 전환 의제를 이끌며 새로운 협력 플랫폼을 구성하는 첫 발걸음이 될 것”이라며 “기업인 여러분께서는 수소 경제에 더 크게 도전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이어 “그린수소 경제를 활성화하려면 민간 자본이 활발히 투입되어야 하고, 관련 인재가 육성되어야 한다”며 “이번 포럼에 참여해 주신 글로벌 기업과 중견·중소기업 모두가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의 주체가 되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오 지사는 그러면서 포럼 기간 수소 기업들과 연쇄 면담을 하며 민관협력 강화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제주도청 제공] |
오 지사는 지난달 24일엔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레베카 마세르뮬 국제수소연료전지파트너십(IPHE) 의장, 스벤 올링 주한 덴마크 대사 등과 연이어 만나며 제주의 그린수소 정책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오 지사는 또 포럼 기간 진행된 언론과의 인터뷰에선 “글로벌 재생에너지 또는 그린수소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 제주에 투자하려고 하는 기업의 투자 규모도 엄청나게 클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오 지사는 그러면서도 “아직 제안받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화나 계랑화하는 건 시기장소지만, 단적인 예로 그린수소 수출 여건까지 마련될 것”이라며 “그래야 진정한 글로벌 그린수소 허브 구축이 될 것”이라고 했다.
오 지사는 제주도가 구축 중인 ‘글로벌 그린수소 허브’에 대해선 “허브는 일종의 항만 개념이다. 들어오고 나가는 것이 자유로워야 하고 거래도 많아야 한다”면서도 “아직 전체적인 생산이 얼마나 될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어느 정도로 올릴지는 점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