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하나, 2000억원 지원책 공개
KB·우리·농협도 조만간 대책 발표
이자 고통 분담…부채 관리 ‘엇박’
은행권이 윤석열 대통령의 일침 이후 상생금융 속도를 내고 있다. 소상공인의 중심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이자 감면, 저금리 대환 대출, 생활비 지원 등이 핵심 내용이다.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대출금리 인상 행보도 ‘올스탑’이다. 5대 금융그룹 회장들은 오는 16일 금융당국 수장과 만나 이같은 방안들을 구체화 할 전망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전날 ‘2024년도 소상공인·자영업자 상생 금융 패키지’를 통해 105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다. 기존 시행 중인 상생 금융 지원프로그램의 기한 연장 및 대상 확대를 위한 610억원 추가 지원, 소상공인·청년 금융부담 완화를 위한 440억원의 신규 지원 등이 골자다. 신한금융은 이를 위해 지난 주말 진옥동 회장 주재로 최고경영자(CEO) 회의 및 실무부서 회의를 열어 상생 금융 방안을 논의 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중소법인들을 대상으로 시행중인 ‘상생 금융 지원프로그램’의 지원 기간을 1년 추가 연장하고, 지원 대상을 자영업자까지 확대하기 위해 610억원을 추가 지원키로 했다. 소상공인 차주를 대상으로 230억원 규모의 이자 캐시백과 대출중개 플랫폼 관련 5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바우처도 제공한다. 청년 자영업자를 위한 135억원 금융 지원도 실시한다.
하나은행은 가장 먼저 소상공인·자영업자 30만명 대한 1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계획을 밝혔다. 다음달부터 약 11만명의 개인사업자 대출 차주에게 캐시백 형태로 이자를 665억원가량 돌려주고, 금융취약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300억원 규모의 에너지 생활비 등을 지원한다.
우리금융도 저금리 대환 대출 확대, 소상공인 이자 면제, 청년전용대출 한도 증액 등을 검토중이다.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지난 주말 최근 계열사 CEO(최고경영자)를 긴급 소집해 지난 3월 시행했던 상생금융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계열사별 추가 방안을 점검한 바 있다. 임 회장은 이 자리에서 ‘국민들 눈높이에 맞춰 실질적이고 진정성 있는 상생 금융’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KB와 NH농협금융은 아직 구체적인 상생 방안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금융 지원 방안 논의를 통해 조만간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대출금리 인상에도 제동이 걸렸다. 앞서 시중은행은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발맞추기 위해 대출 금리 인상에 나섰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1일부터 비대면 주담대 상품의 금리감면율을 0.15%포인트(p) 축소했고, 신한은행은 지난 1일부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0.05% 포인트(p) 인상했다. 우리은행도 지난 3일 주담대 우대금리를 0.2~0.3%p 줄였다.
그러나 일주일 새 분위기가 급변했다. 대통령이 ‘은행 종노릇’ ‘갑질’ 등 연일 날선 발언으로 은행 때리기에 나선 가운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은행 이자수익이 60조나 된다”며 이자 장사 비판에 합류했다. 내년 총선을 겨냥한 상생금융 압박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으로 당분간은 추가 금리 조정도 어렵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정부 기조가 거시정책과 엇박자를 낼 수 있다는 우려다. 한국은행에서는 가계부채 강화를 위해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경고를 보내고 있는데, 당국과 정부에서는 금리를 내려라고 압박하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실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고금리에도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686조119억원으로 한 달간 3조6825억원 불어났다. 기업대출 잔액은 764조3160억원으로 같은 기간 7조9851억원 늘었다. 올해 들어서는 60조원 넘게 증가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상생금융에 대한 지적 중에 성실하게 빚을 갚고 있는 차주들의 형평성 문제가 언급된다”며 “은행이 취약계층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나서야 하지만, 동시에 가계 부채 관리도 필요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