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충제에도 죽지 않는 ‘빈대’ 확산을 막기 위해 범정부차원의 힘을 모은다. 정부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빈대 정부합동대책본부 두 번째 회의를 열고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에 빈대 의심신고 건수 및 사실 여부, 대처 상황 등을 시설·단계·지역별로 파악에 나섰다.
이날 회의는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질병관리청 등 10개 관계 부처와 일부 광역 지자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영상회의로 진행됐다. 빈대 정부합동대책본부는 지난 3일 행정안전부가 주재해 발족했으나, 빈대 확산의 심각성을 감안해 대책본부 위상을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격상됐다.
회의에서 각 지자체들은 현재 빈대 신고 상황 등 점검 현황에 대해 보고했다. 합동대책본부는 지자체별 현황을 파악해 ‘전국 빈대 합동 상황판’도 이날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빈대 신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다.
빈대는 살충제 보급 등 방제가 확산하면서 국내 생활공간에서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2014년부터 약 10년간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관련 신고는 9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최근 입국객 중심으로 빈대 유입 추정 사례가 늘고 있으며, 신고장소는 공중숙박, 위생시설 등에서 신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빈대의 전국 확산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최근 발견되는 빈대는 살충제에도 내성이 생긴 변이종으로 알려져 방역당국이 ‘대체 살충제’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전날 현재 시판 중인 살충제 피레스로이드의 빈대 살충 효과가 낮아 대체제 도입을 논의했다. 이미 해외에서는 살충제에 내성이 생긴 해충에 대해 저항성 살충제를 대체하는 살충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질병청도 대체 살충제 사용을 환경부와 적극 협의 중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빈대는 그간 발생 빈도가 낮고 감염병 매개 곤충으로 분류되지 않아, 정보와 연구가 제한적인 상황이나, 최근 전세계적으로 발생 증가 추세이며, 살충제 저항성 빈대 등의 문제가 있다”며 “방제전문가 및 방역업체와 협력을 통해 빈대발생 방제 요청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국내 수집 빈대의 종 분류 및 특성을 분석하고, 살충제 효과성 감시도 시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