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허경욱 전 OECD 대사, 유광열 SGI서울보보험 대표이사 사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
차기 손보협회장, ‘官’ 출신 경쟁으로…허경욱·유광열·이병래 출사표 [손해보험협회장 선임 레이스 ③]
[한국금융신문=정은경 기자] 정지원닫기정지원기사 모아보기 손해보험협회장의 임기가 내달 22일 만료되는 가운데, 차기 후임으로 관 출신 인물들이 거론되고 있다.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차기 손보협회장 하마평에 허경욱 전 주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와 유광열닫기유광열기사 모아보기 SGI서울보증보험 사장, 이병래닫기이병래기사 모아보기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올랐다.
허경욱 전 대사는 1955년생으로 세 후보자 중 연장자다. 경기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행정고시 22회로 국제금융국에서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재정경제부에서 국제기구과장과 금융협력과장, 국제금융과장, 장관비서실장, 국제금융국장, 국제업무정책관을 지냈다.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 대통령실 국책과제1비서관을 역임 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OECD 대사를 지냈다. 2015년부터는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유광열 사장은 1964년생으로, 군산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행시 29회로 1986년 총무처에서 공직에 입문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경제기획원 심사평가국, 경제기획국 등을 거쳤다. 이후 재정경제부 산업정책과장, 기획재정부 혁신인사기획관,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관,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심의관, 기획재정부 국제금융협력국장 등을 지냈다. 2016년부터는 금융위원회로 자리를 옮겨 금융위 금융정보분석원장, 금융위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을 거쳤다. 2017년 금융감독원으로 자리를 옮겨 수석부원장, 원장 직무대행을 역임한 뒤 2020년 12월 서울보증보험 대표이사에 올랐다.
이병래 부회장은 1964년생으로 대전고와 서울대 무역학과(81학번)를 나와 행정고시 32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재무부를 거쳐 금융감독위원에서 보험과장, 금융정책과장을 거쳐 금융위원회 대변인, 금융서비스국 국장,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등 요직을 맡았다. 이후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을 역임한 뒤 현재 한국공인회계사회 대외협력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정지원 손해보험협회 회장의 임기는 오는 12월 22일 만료된다.
손해보험협회는 아직 회장추천위원회(회추위) 구성 계획이 잡혀있지 않다. 은행연합회와 생명보험협회 인선이 확정돼야 후보를 물색하기 때문이다. 은행연합회는 최근 회추위를 구성하고 후보자 물색에 나섰고, 생보협회도 조만간 회추위를 구성하고 후보자 물색에 나설 예정이다.
다만, 정 회장의 임기가 약 두 달가량 남은 만큼 이달 말 정도 이사회를 열고 회추위를 구성한 뒤 세부 일정과 구체적인 절차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마평에 오른 3인 모두 보험업을 경험한 인물이다. 허경욱 전 대사는 지난해까지 삼성생명 사외이사로 활동했고, 유광열 사장은 현재 서울보증보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이병래 부회장은 2008년 금융감독위원에서 보험과장을 맡은 바 있다.
다만, 허 전 대사의 경우 삼성생명 사외이사로 활동했지만 다른 후보군에 보험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가장 연장자인 점이 걸림돌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 사장은 공직 경력은 물론 현직 보험회사 CEO로 지내고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후보자로 꼽힌다.
이 부회장의 경우 금융감독위원회가 출범한 1999년부터 당국에서 활동해왔고, 금융위 보험과장을 지내며 보험 이해도까지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윤석열닫기윤석열기사 모아보기 정부 출범 당시 이복현닫기이복현기사 모아보기 당시 서울북부지검 부장검사와 함께 첫 금융감독원장 후보로 거론될 만큼 정부·금융당국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선 당국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인물이 필요하단 입장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아직 은행연합회, 생보협회 등 금융권 협회장 인선이 확정되지 않아 지켜봐야겠지만, 손보업계에선 주로 민간보다 관료 출신 인물을 선호하는 편”이라며 “현 정부가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펫보험 정책 활성화, 단순 보험 민원 협회 이관 등 보험업권 과제 대다수가 손해보험과 연결되어 있어 당국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고, 친정부 인물에 힘이 실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