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기업 메타가 정치 광고에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콘텐츠를 사용할 경우 이를 고지하도록 하는 정책을 도입한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AI 발(發) 가짜뉴스가 여론 조작과 선동 등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메타는 내년부터 정치 등의 광고에 다른 기업의 AI 기술을 사용한 경우 이를 공개하도록 전 세계 광고주에게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광고에 이미지 생성기인 ‘달리’와 같은 제3자 AI 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를 이용했다는 것을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정치나 사회적 이슈 광고는 물론 주택·고용·제약·금융 서비스 관련 광고를 제작할 때는 자사의 AI 기술을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 메타는 “(이번 정책을 통해) 잠재적으로 민감한 주제와 관련된 광고에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적절한 보호 장치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메타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정치 광고를 하기 위해서는 AI 도구 사용 여부를 공개해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광고는 거부될 수 있다. 또 광고 승인이 되면 AI 도구로 제작됐다는 정보가 광고에 표시된다고 메타는 설명했다.
메타는 AI 사용 여부를 반복적으로 공개하지 않은 경우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불이익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NYT는 “메타가 정치적 사회적 논란이 될 수 있는 광고에 AI 악용을 막음으로써 골치 아픈 소송이나 사회적 비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메타는 그동안 정치 광고에 방관적인 입장을 보여 비판을 받아왔다. 메타가 운영하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의 소셜미디어에서 개인 맞춤형 마케팅을 통해 돈을 벌면서 이를 통한 양산되는 부정적 사회현상을 묵인한다며 비판의 중심에 섰다. 메타는 연간 매출의 약 97%를 정치 광고를 포함한 온라인 광고를 통해 벌어들이고 있다.
메타는 지난 2016년 미 대선 정국에서 영국 정치 컨설팅 업체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가 정치 광고를 위해 페이스북 이용자 8700만명의 데이터를 수집, 이용한 것이 드러나면서 크게 곤욕을 치른 바 있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