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기조의 고착화, 세계 경제 불확실성의 증가 등 대외 여건 악화 속에서 성장 동력의 단초가 될 수 있는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이 그 어느때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한국의 인식 수준은 여전히 세계 하위권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웨이는 세계기업가정신주간을 맞아 13일 이같은 내용의 ‘2023 암웨이 글로벌 기업가정신 보고서(AGER)’를 발표했다. 올해 보고서는 전 세계 15개국 성인 1만5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됐다.
기업가정신을 나타내는 주요 항목인 ‘사업을 시작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한국은 약 40%만이 ‘그렇다’고 응답해 15개 조사국 중 최하위권인 13위를 기록했다. 독일(29%), 일본(22%)보다는 높지만 전세계 평균(58%)에는 크게 못 미친다.
조사 대상국 대부분을 차지한 아시아 지역에 국한하면 그 차이는 더욱 도드라진다. 인구 대국인 중국(77%)과 인도(76%)를 비롯해 신흥 성장국으로 꼽히는 베트남(88%), 태국(74%), 말레이시아(70%)가 상위권을 차지한 가운데 역내 경쟁국인 싱가포르(54%), 대만(54%)도 글로벌 평균에 근접해 있다.
이 같은 배경에는 현실적인 요소가 크게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49%)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새로운 도전에 대한 장벽으로 인식된다고 답했다. 중국(27%), 인도(29%)와는 차이가 크고, 일본(39%)보다도 높은 수치다.
구체적으로 ‘충분한 비즈니스 스킬을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는 질문에 25%가, ‘사업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는 질문에는 단 19%만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객관적인 현실 인식과는 별개로, 추가 수입 창출에 대한 선호도는 국가를 막론하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수입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 대부분의 응답자가 90%를 상회하는 긍정적인 답변을 한 가운데 한국은 96%의 수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실제 ‘부업을 하는 지인이나 가족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한국 응답자의 35%만이 ‘그렇다’라고 답변했다. 베트남(84%), 인도(77%), 멕시코(77%) 등이 상위권을 차지한 가운데, 한국보다 낮은 곳은 일본(15%)이 유일하다.
이상명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한국인들은 실패를 용인하지 못하는 체면 중심의 오랜 문화적 관습과 더불어 실패 이후 또다른 기회를 얻기 힘들다는 현실 속에 길들어져 왔다”면서 “그러나 최근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자기 주도적 삶의 방식이 사회 전반에 걸쳐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이와 병행해 사회적 안전망이 강화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배수정 한국암웨이 대표이사는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사회 전반적인 기업가정신의 함양 수준이 곧 그 나라의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다”며 “한국은 인력 수준이 뛰어나고 트렌드에 민감하기 때문에 적절한 계기만 갖춰지면 기업가정신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혜원 기자 hmoon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