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곳곳에서 빈대가 확산해 비상인 가운데 최근 미국 뉴욕에서도 빈대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는 올해 들어 지난 10월 말까지 뉴욕에서 빈대가 확인됐다는 신고 건수가 모두 2667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7%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브루클린의 빈대 신고 건수는 전년 동기에 비해 21% 증가한 928건으로, 뉴욕 시내 5개 자치구 중에서 가장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 내 빈대 신고 건수가 늘어나자 일각에서는 최근 남부 국경을 통해 입국한 망명 희망자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뉴욕의 한 방역업체 대표는 “중남미 출신 망명 희망자들이 대거 뉴욕에 몰려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난 9월 말 열렸던 뉴욕 패션위크 행사를 빈대 확산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의견도 있다. 빈대 문제로 골머리 앓고 있는 프랑스에서 패션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뉴욕으로 출장 오면서 빈대가 옮겨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뉴욕시는 아직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뉴욕시는 “외국의 빈대 확산 상황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있다”며 “현재로선 뉴욕 주민들이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국내서도 빈대 공포 확산…발견 즉시 110 신고
국내에서도 빈대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지난달 13일 인천 서구의 한 찜질방에서 살아있는 빈대 성충과 유충이 발견된 이후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관련 의심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지난 8일에는 충남 아산시 한 원룸에서 빈대가 확인되기도 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전국에 접수된 빈대 신고는 32건이고 이 중 13건이 실제 빈대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에서 빈대는 1960∼1970년대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DDT) 살충제를 쓰면서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프랑스 등 외국에서 빈대가 퍼지며 국내에서도 관련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
빈대는 주로 밤에 활동하며 낮에는 가구나 벽지 틈 등에 숨어있다. 빈대는 모기나 진드기처럼 감염병을 매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흡혈할 때 피부염증과 가려움증, 수면 부족을 유발할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빈대 침입을 신속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자는 동안 신체 부위에 물린 자국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러나 물린 자국이 나타나기까지 최대 14일이 걸릴 수 있으므로 침대에 빈대가 탈피한 뒤 남은 외골격(껍질)이나 붉은색 핏자국, 검붉은 배설물 등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침대 매트리스와 시트의 접힌 부분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빈대 출몰이 의심될 시 국민콜 ‘110’이나 각 지방자치단체 보건소에 신고하면 된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