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 아파트에 박쥐가 나타나 주민의 불안이 커졌다. 전문가는 “물리지 않는다면 감염성은 매우 낮다”며 “어쩌다 사람과 스쳤다고 병이 옮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접촉만 주의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전 9시쯤 서울 합정역 인근 아파트 15층에서 박쥐가 방충망에 매달려 있다 주민에게 발견됐다.
박쥐를 발견한 주민 조모 씨는 “아파트가 도심에 있고 근처에 숲이나 동굴도 없는데 박쥐가 나타나 놀랐다”며 “박쥐가 여러 바이러스를 옮기는 동물이라고 들어서 보자마자 뜰채로 쳐서 날아가게 했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박쥐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마포구청 관계자는 “지금까지 마포구 내에서 박쥐가 출몰됐다는 신고가 들어온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구청 관계자는 “박쥐를 위해 동물이라고 말할 순 없을 것 같다”며 “만약 ‘박쥐를 발견했으니 구조해달라’고 신고하면 절차에 따라 구조는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 “겨울잠 자러 가다 휴식 취한 듯”
박쥐는 보통 10월부터 그다음 해 5월까지 동면기를 맞는데 올해도 겨울잠을 자러 가는 도중에 아파트가 있어 잠시 휴식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는 설명했다.
집박쥐는 민가 지역에 사는 박쥐로, 주로 건물이나 콘크리트 틈에 살기 때문에 주거 지역에서 가끔 목격된다. 산림이나 동굴이 주 서식지인 안주애기박쥐 또한 11월 말에서 12월 초에는 민간에 의해 자주 발견되는 종 중 하나다.
북극과 남극을 제외한 세계 전역에 서식하는 박쥐는 1400여종으로 종류가 많아 전 세계 포유동물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생물학자들은 박쥐를 지구상에서 절대로 사라지면 안 되는 생물 5가지 중 하나로 꼽는다. 인류 진화에 통찰력을 주는 영장류, 꽃가루를 옮기는 벌, 광합성으로 산소를 만들어내는 플랑크톤, ‘자연의 청소부’ 역할을 하는 균류(곰팡이)와 함께 인류 생존에 꼭 필요한 존재라는 것이다.
자연의 ‘살충제’이자 바이러스 전파자
아울러 박쥐는 자연의 살충제로 기여한다. 엄청난 양의 해충을 잡아먹어 생태계를 안정시킨다. 바나나·망고 등 열대과일류의 꽃가루를 옮기는 일도 한다.
그러나 박쥐는 에볼라·사스·메르스 등 대다수 감염병 바이러스의 1차 숙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의 코로나19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3종류의 흡혈박쥐는 광견병을 사람에게 직접 전파한다. 체온이 높아 어지간한 바이러스에 끄떡없는 박쥐의 특성은 어디서나 생존하는 놀라운 적응력의 바탕인데, 이 때문에 박쥐는 온갖 바이러스를 가지고 사는 ‘바이러스의 저수지’라 부르기도 한다.
최근 인천·시흥·고양 등 도시 지역의 아파트촌에서 박쥐가 많이 나타나 주민들이 놀라고 있다. 대다수 박쥐가 아파트 방충망에 한참 동안 달라붙어 있어 이를 없애달라는 민원이 이어진다. 코로나19 때문에 긴장하고 있는 시민들이 느닷없이 나타난 박쥐를 보고 감염을 걱정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해 일이다.
따라서 박쥐를 발견하면 손으로 만지는 등 직접 대처하기보다는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신고하는 것이 좋다. 야생동물의 특성상 병이 옮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서식지가 없어 박쥐가 민간에 출몰한다는 일부 인식은 확대 해석”이라며 “서울 상공이든 시골이든 박쥐는 어디서나 살고 있다. 물리지 않는다면 감염성은 매우 낮고, 어쩌다 사람과 스쳤다고 병이 옮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접촉만 주의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