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책연구기관인 KDI(한국개발연구원)가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3%에서 2.2%로 소폭 낮췄다. 고금리 기조에 소비·투자 등 내수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서다. 다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살아나면서 우리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9일 ‘2023 하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한국의 내년 경제 성장률을 2.2%로 제시했다. 지난 8월에는 기존 전망치인 2.3%를 유지했지만 이번에는 0.1%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이는 정부 전망치(2.4%)보다는 낮지만 IMF(국제통화기금)·한국은행 전망치와는 같은 수준이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전망치(2.1%)보다는 높다.
내수의 성장세 약화가 하향 조정의 원인으로 꼽혔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고금리에 내수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소비나 투자 쪽에서 성장률을 하향 조정한 부분이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KDI는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을 8월 전망(2.4%) 때보다 0.6%p 낮아진 1.8%로 예상했다. 설비투자 역시 고금리 장기화 영향으로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건설투자는 주택 부문 중심의 건설 수주 위축 여파로 1.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서비스 수출도 여행수요의 점진적 회복에 따라 높은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는 수출 회복세와 함께 내수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흑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올해 경제 성장률은 8월 전망(1.5%)보다 0.1%p 낮은 1.4%로 예상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종전보다 0.1%p 높은 3.6%를,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1%p 올려잡은 2.6%로 전망했다.
한편 KDI는 거시 경제 정책은 물가안정을 위해 당분간 긴축적인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중장기적인 재정건전성 관리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경제역동성을 강화하기 위해 진입장벽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교육제도 개편 등의 구조개혁에 정책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