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6일 금융당국과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를 앞두고 시중은행들이 지난주 상생금융 방안을 금융당국에 제출했다. 이 방안에는 가계부채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금리 인하를 포함해 취약계층 금융지원 등이 담겨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은 상생금융 방안을 제출했음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가 각자 지원책을 내놓은데 그치지 않을 확률도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한 임원은 “신한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가 이달 초 각각 1000억원 규모의 지원책을 마련해 발표했을 때에도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는 게 당국의 입장이었다”며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회장단과 만나는 자리에서 다른 상생금융 카드를 언급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은행권을 향한 상생금융 요구은 ‘이자장사’에 대한 윤 대통령의 비판으로 시작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서민들이 ‘은행 종노릇 하는 것 같다’며 한숨을 쉬고 있다”고 하자 금융당국도 은행 압박에 나서기 시작했다. 금융지주회장과 회동에 앞서 각 은행으로부터 상생금융방안을 취합해 검토하는 것도, 윤 대통령이 언급한 만큼 과거보다 좀 더 강도 높은 대책을 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은행권을 향해 이런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 신한·하나 지주가 내놓은 상생금융안에 대해 김 위원장은 지난 7일 “제 판단이 중요한 게 아니다”라며 “국민 공감대를 만족하는 방안을 찾으려는 것”이라고 했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6일 “은행이 반도체나 자동차만큼 다양한 혁신을 해서 60조원의 이자수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은행 산업에 계신 분들도 현실적 판단을 해야 한다”며 은행권의 취약계층 지원을 압박했다.
추가 상생금융방안을 내놓아야 하는 은행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김광수 은행연합회 회장은 상생금융방안과 관련해 각 금융지주 회장에게 “개별 금융그룹별로 대응하기보다는, 금융 취약계층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새로운 내용을 마련해 은행권 공동으로 준비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13일 5대 금융지주 회장은 김 회장과 아이디어를 논의할 예정이었지만 사전 조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로 취소되기도 했다.
금융권에서는 “당국의 관치 금융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올해 2월에도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은행들은 향후 3년간 10조원 이상의 ‘은행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은행권 공동 사회공헌사업 자금을 모아 저소득·저신용자 지원, 중소기업 특례보증을 위한 추가 출연, 서민금융상품 공급 확대에 쓰기로 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10조원 규모 지원이 시작도 하기 전에 또 다른 지원방안을 또 내놔야 한다”며 “당국이 어디까지 원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