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1일 전격 사의를 표명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하려는 상황에서 방통위 기능 정지 상태를 막기 위한 선택에 나선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사의 수리 여부를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위원장은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 국회 처리를 앞두고 이날 사의를 표명했다. 이 위원장은 윤 대통령에게 전날 늦게 자진 사퇴의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이 위원장은 최근 주요 업무에서 차질이 생긴 데다, 탄핵안 통과 시 수개월간 직무 정지로 방통위 업무가 마비될 것으로 우려해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이날 방통위 과천 청사에 출근하며 “탄핵 때문에 방통위 업무 공백이나 그런 사태들을 우려해서 부담을 드리는 것 같아 대통령에게 말씀을 드린 것은 맞다”고 부연했다.
이 위원장이 사임을 밝힌 건 지난 8월 취임한 지 약 3개월 만이다. 언론인 출신인 이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 때 언론 장악을 주도했다는 야권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 위원장은 ‘가짜뉴스 근절 TF’를 신설해 방송·통신 분야의 가짜뉴스 근절에 나서왔다. 특정 매체가 가짜뉴스의 원천 역할을 하고 포털, 유튜브, 방송사 등을 통해 확대 재생산된다고 봤다.
지난 9월에는 네이버가 뉴스 검색 서비스에 인위적으로 개입했는지 등에 대해 정부가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뉴스 알고리즘을 분석해 특정 언론사에 편향된 서비스를 제공했는지 들여다보겠다는 것이었다. 이 위원장은 카카오모빌리티 등 택시호출 플랫폼 사업자의 개인위치정보 관리실태를 점검하는 등 전방위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국회 탄핵안 처리를 앞두고 최근에는 보도 채널 연합뉴스TV와 YTN의 최대주주 변경 신청 승인을 보류하는 결정을 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이 사표를 수리하면 탄핵 대상자가 사라져 국회의 탄핵소추 자체는 무의미해진다. 현재 이 위원장과 이상인 방통위원 2인 체제로 운영되는 방통위가 탄핵소추안 통과로 겪을 기능 정지 상태를 벗어날 가능성도 생겼다. 탄핵소추안이 의결되면 헌법재판소 판단이 내려지기까지 최장 180일간 업무가 정지될 수 있다.
민주당은 이 위원장의 사표를 국회의 탄핵 절차 방해로 규정하고, 윤 대통령에게 사표를 수리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위원장의 사의 표명은 탄핵을 회피하려는 꼼수”라며 “대통령이 (이를) 수리하는 것은 현재 국회가 헌법적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것에 대한 명백한 방해 행위가 될 것이기 때문에, 대통령은 이 위원장 사표를 수리하지 말고 국회 탄핵 절차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 위원장과 무관하게 손준성·이정섭 두 검사에 대한 탄핵 절차는 오후 본회의에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민주당은 이 위원장 외에도 손, 이 검사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각각 제출해둔 상태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처리할 안건에) 방통위원장만 탄핵이 있으면 변화가 있겠지만 검사 탄핵이 있어 상황이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도 예산안은 법정기한(2일)까지 처리되지 못하게 됐다. 여야는 일단 정기국회 회기 마지막 날인 9일까지라도 예산안 처리를 마치겠다는 새 목표 시한을 제시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가급적 (예산안을) 빨리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며 “몇 가지 쟁점에서 입장 차이가 있어 이런 부분들 정리한 뒤 여야 간 대화를 통해 타협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여야 간 쟁점으로 연구·개발(R&D)예산과 지역화폐, 새만금 예산, 청년 관련 예산을 꼽았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국민의힘 간사를 맡은 송언석 의원은 이와 관련해 “(민주당은) 정기국회 마지막 날인 9일까지 예산안이 반드시 처리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세상에 정부·여당이 예산 심의, 통과에 이렇게 무관심한 것을 본 적이 없다”며 “민주당 원내지도부에서 가능한 예산안 수정안을 만들고 있다. 협의가 안 되면 원안을 표결한 뒤 (부결돼) 준예산 사태 올 것이라는 그런 기대 버리라”고 말했다. 민주당 예결위 간사인 강훈식 의원은 통화에서 예산안 협상과 관련해 “여야 간 어떤 것들을 요구하는지는 얘기는 했는데, 구체적으로 얼마를 늘릴지 등 논의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아직 심사가 들어갔다고 할 수 없는 상태”라고 부연했다. 강 의원은 “정기국회 내에는 해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가 전날 제안했던 2+2(정책위의장+예결위 간사) 협의체와 관련해서도 “아직 논의가 오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예산안은 2021년 예산안이 2020년 12월 2일 법정기한 내 처리된 이후 3년 연속 법정기한을 지키지 못하게 됐다. 지난해에는 법정기한을 3주 초과한 12월 24일에야 예산안이 본회의를 통과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