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우주로켓) 3차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됐다. 지난해 1·2차 시험발사 때는 더미위성을 탑재했지만 이번에는 민간에서 개발한 실제 위성까지 탑재해 우주 궤도에 진입시켰다.
세계적인 성능의 일본 ‘엡실론’ 로켓을 능가하는 한국형 고체추진로켓 기술을 2025년까지 확보하겠다는 꿈에 거의 도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아울러 군 독자적인 다량의 초소형 정찰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청신호가 켜진 것이다.
4일 국방부에 따르면 고체연료 발사체는 이날 오후 2시 제주도 중문 해안에서 4㎞ 떨어진 해상 바지선에서 발사됐다. 발사체에서 분리된 위성체는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했고 오후 3시 45분 40초에 지상관제센터와 첫 교신에 성공했다. 지난해 3월과 12월 각각 1·2차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마친 데 이은 세 번째 시험발사 성공이다.
3차 시험발사에 쓰인 탑재체는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이다. 약 100㎏ 중량의 지구관측위성으로 약 650㎞ 우주 궤도에 진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3차 시험발사는 최초 계획에서는 더미위성을 탑재해 발사하는 것이었지만 민간에서 위성을 만든 것이 있기 때문에 윈윈(win win) 차원에서 탑재하기로 결정했다”며 “1~4단 고체연료 발사체가 완성되면 무게 500~700㎏ 위성도 우주 궤도에 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고체연료 발사체를 최종적으로 탑재 중량 1500㎏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다.
|
|
군 당국이 고체연료 발사체를 개발하는 배경은 구조가 단순하고 저장과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발사 준비 기간도 7일 이내로 신속 발사가 가능하고 발사 비용도 액체연료로켓에 비해 적다. 반면 액체연료로켓은 비용이 많이 들고 저장이 어려우며 발사 준비에도 수십 일 이상 소요된다. 다만 고체연료 발사체에 비해 무거운 탑재체도 궤도에 올릴 수 있다.
따라서 고체연료는 비교적 가벼운 저궤도용 관측·정찰위성에 적합하고 액체연료는 고고도에 투입하는 지구 정지궤도 위성이나 우주탐사선 등 무거운 탑재체를 쏘아 올리는 데 적합하다는 게 군사 전문가들의 평가다.
국방부 관계자는 “3차 고체연료 시험발사 성공으로 소형위성을 지구 궤도에 투입하는 독자적 능력에 있어 진전을 이루게 됐다”며 “개발이 완료되면 우리 군은 안보 수요와 긴급 상황에 대응해 관측·정찰을 위한 소형위성을 적기에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된다”고 했다.
아울러 군 당국은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민간에 해당 기술을 이전해 우리나라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할 방침이다. 기술이전 대상은 독자적으로 위성 발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업이다.
군 소식통은 “최종적으로 민간기업이 자체적인 발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발사체 조립 및 점검 기술을 포함해 필요한 기술을 이전할 예정”이라며 “대한민국의 고체연료로켓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북한에서 만든 것(고체연료 추진체)보다 1.5배 이상 추력이 크다”고 말했다.
|
한편 군의 대형 수송기 2차 사업의 기종으로 브라질 엠브라에르사의 C-390이 깜짝 선정됐다. 차기 전투기(F-X) 2차 사업 기종도 미국 록히드마틴이 제작하는 스텔스기 F-35A로 결정됐다.
방위사업청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157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K21 보병전투차량(기존 장갑차 ‘K200A1’ 대체) 4차 양산 계획과 소형무장헬기(육군 헬기 ‘500MD’와 ‘AH-1S’의 대체) 2차 양산 계획도 심의, 의결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