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서울 지하철의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가 노사 간 임금 및 단체교섭이 결렬됨에 따라 파업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
16일 서울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의 양 노조 임단협 연합교섭단은 지난 12일부터 11월 총파업 돌입 여부에 관한 조합원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이번 투표에는 조합원 1만4049명 중 81.0%인 1만1386명이 참여했는데, 투표 결과 73.4%에 해당하는 8356명의 찬성률을 기록하며 가결됐다.
이에 연합교섭단은 지방노동위원회 조정 회의를 거친다.
하지만 조정 회의가 성과없이 끝나면 연합교섭단은 18일 ‘파업 경고 기자회견’을 진행한 뒤 19일 조합원 총회를 열 예정이다.
특히 교섭이 결렬된 주요 원인으로는 ‘인력감축’이 꼽히고 있다.
서울교통공사의 당기순손실은 2020년 1조1천137억원, 2021년 9천644억원, 2022년 6천420억원이다. 이 중 2021∼2022년은 서울시의 재정지원금을 반영한 규모라는 점에서 이를 제외하면 사실상 3년 연속 1조원대 적자다.
이같이 연이은 적자 발생에 공사 측의 누적 적자는 17조6808원에 이르며, 자본잠식률 역시 61.9%에 달한다.
이에 공사 측은 대규모 적자로 인해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인력감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오는 2026년까지 2211명을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공사 전체 정원의 약 13.5%에 이르는 수치다.
하지만 노조 측은 ‘사측이 내놓은 경영혁신안은 노동자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또 무리한 인력감축은 안전 문제로 직결될 수 있다며 혁신안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두고 공사 관계자는 “경영 정상화를 위한 경영혁신을 지속 추진하면서도 현장 안전 확보 등 대안을 마련해 연합교섭단과 대화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비상 수송 대책을 시행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