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만에 완전 민영화 고지에 선 우리금융지주의 ‘막판 해법’이 주목받고 있다. 우리금융은 예금보험공사(예보)가 소유한 우리금융 잔여 지분 1.29%(약 936만주)를 자사주로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예보 입장에서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꾀할 수 있고, 우리금융은 완전 민영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윈윈(Win-Win) 전략’이다. 이런 결정을 끌어낸 배경엔 과거 금융위원장 재임 당시 우리금융 민영화를 추진했던 임종룡 회장의 개인기가 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우리금융이 자사주 매입 의사(지난 5월)와 ‘협약서 체결 후 매매계약 체결 방식’(지난 7월)을 예보에 먼저 제의하면서 주식양수도 기본협약이 체결됐다. 우리금융과 예보는 지분 1.29% 관련 주식양수도 기본 협약을 체결해 내년 말까지 매각 시기 및 방식 등 구체적 사항을 결정하기로 했다. 잔여지분 매각이 완료되면 25년에 걸친 민영화 절차가 마무리되며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도 모두 털어낼 수 있게 된다.
눈여겨볼 점은 우리금융이 예보 잔여지분을 자사주로 매입하기로 했다는 점이다. 한마디로 지분 매수자를 미리 정해놓는 방식이다. 이는 대규모 지분 매각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버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해법이다. 지분을 대량으로 한꺼번에 시장에 내놓으면 주가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자금 회수를 극대화해야 하는 예보와 주식시장에는 우려로 남는다. 실제로 지난해 예보의 블록세일 이후 우리금융 주가는 평균 6.9% 하락한 바 있다.
이번 예보의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결정은 임 회장의 개인기가 발휘됐다는 평가가 많다. 금융권 관계자는 “임 회장 개인의 능력이 돋보인 사례라고 생각한다”며 “임 회장이 제안했기 때문에 예보나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도 적극적으로 검토하지 않았을까 싶다”고 전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임종룡 회장은 공직 시절부터 우리금융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었다”며 “예보와 우리금융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이번 협약도 임 회장의 역할이 중요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방식이 서울보증보험 등과 같은 사례에 일부 적용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보증은 현재 기업공개(IPO)를 통한 공적자금 회수를 진행 중이며, 역시 오버행 우려가 있는 상황이다. 공적자금 10조2000억원이 투입된 SGI는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93.85%를 보유한 대주주로 현재까지 회수율은 12.1%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