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국내 경제가 저성장 기조에서 돌아서기 위해서는 금융 글로벌화를 통해 돌파구를 찾아야한다고 밝혔다. 또 국내 금융사가 해외로 가는 아웃바운드(Outbound) 활동에 나서 금융 수출의 기틀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20일 한국국제경제학회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공동 주최하는 ‘2023년 정책세미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금융의 디지털화와 지속가능금융의 확산 등 금융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실물경제는 성숙단계로 접어들었다”며 “글로벌 시장은 무한대 크기에 편익의 한계또한 없어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과 해외금융투자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 또한 해외자본 및 해외 금융사 유치를 위한 인바운드(Inbound) 정책과 해외금융투자 및 금융회사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아웃바운드 정책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정부와 민간이 원팀(One-Team)을 이뤄 혁신을 이어가야 글로벌 금융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윤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이날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글로벌 디지털 금융중심지 육성 전략’이라는 발제를 통해 “디지털금융 관련 규제자유특구 도입 등 법적 제도의 정비, 글로벌 핀테크 생태계 허브 구축 및 디지털 금융 글로벌 테스트베드 육성 등을 통해 디지털금융 중심으로 경쟁력을 갖춰야한다”고 강조했다.
현정환 동국대학교 교수는 홍콩·싱가포르 등 경쟁도시로부터 금융회사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파격적인 금전 혜택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빅블러(Big-Blur)시대에 맞춰 해외 핀테크, 빅테크 기업의 유치 및 금융국제기구 유치가 필요하다는 뜻을 피력했다.
이밖에도 금융투자산업이 해외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제대로된 강점·약점·기회·위기(SWOT) 분석 뿐 아니라 디지털 특화 자회사 설립·육성과 연기금 및 대기업을 동반한 해외진출 방안 등이 나와야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해외진출을 위한 규제개선과 금융부문 개발협력 확대 등 금융산업 국제화가 탄력을 받을 수 있는 제도와 틀을 적극 마련하고 외환건전성 부담금, 선물환포지션 한도 등 건전성 조치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