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후폭풍이 상당히 거세다. 17.15%p 득표 차이는 국민의힘으로서는 내년 총선을 상당히 불리한 상태에서 치르게 만들기 충분하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 이후 기사회생할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상당히 크다. 이번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의 의미를 되새기지 못한다면 내년 총선의 승패는 어디로 향할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그만큼 이번 보궐선거가 갖는 의미를 제대로 해석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23일 복귀하는 이재명
당장 23일 이재명 대표가 당무에 복귀한다. 장기간의 단식으로 인해 후유증 치료 중이었던 이 대표가 당무에 복귀한다는 것은 산적한 과제를 해결한다는 것을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가결파 징계안 처리이다. 지난달 이 대표 체포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됐고, 법원에 영장실질심사를 받으러 갔지만 기각이 되면서 강성 지지층 중심으로 가결파 징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체포동의안에 찬성표를 던졌다고 실명을 밝힌 이상민, 김종민, 이원욱, 설훈, 조응천 등 5인에 대한 징계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징계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 첫 번째 숙제가 됐다. 이 대표가 당무에 복귀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여러 가지 시나리오가 난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언론에서는 이들에 대해 징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
다만 박찬대 최고위원은 어느 것도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이 대표가 당무 복귀해서 주재하는 첫 번째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당의 화합과 통합을 위해서는 가결파에 대한 징계를 하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와 내년 총선에서 하나의 목소리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원팀이 돼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가결파에 대한 징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들을 징계하지 않으면 총선 과정에서 당과는 다른 목소리를 낼 것이 분명하고, 그것이 오히려 더불어민주당에 해당행위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런 이유로 이들에 대한 징계를 반드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다만 이 대표로서는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에 대해 징계하면 결국 이재명 사당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당내 다른 목소리를 완전히 차단한다는 것은 당의 민주적 절차 등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 되는 것이고, 그것은 당의 사당화가 된다는 우려가 생기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이재명 사당화 우려를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가결파에 대한 징계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거꾸로 이번에 만약 징계하지 않으면 이들은 계속해서 당과는 다른 목소리를 내면서 내년 총선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도 있는 이유에서 이들에 대한 징계를 반드시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특히 강성 지지층은 이들에 대해 징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하기 때문에 당 지도부로서도 이들의 목소리를 무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징계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이 대표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려도 비판을 받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어떤 결정이 과연 당에 가장 좋은 결정인지에 대해 이 대표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그 결론을 23일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놓아야 한다.
또한 그 결정이 어떤 후폭풍으로 다가올 것인지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대표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재명의 고민
아울러 이 대표의 ‘재판리스크’도 상당한 고민이 되는 대목이다. 이번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가 민주당의 압승으로 돌아갈 수 있었던 이유도 이 대표가 선거유세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즉, 이 대표가 전면에 나서지 않음으로써 사법리스크나 재판리스크를 비껴가는 효과가 있었고, 오롯이 진교훈 당시 후보가 선거운동을 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승리를 이끌어 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검찰이 이 대표를 불구속 기소하면서 현재 재판이 진행 중에 있다. 법조계에서는 1주에 2~4회 정도 재판에 출석해야 할 정도라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재판이 빨리 끝날 가능성이 낮으면서 그에 따라 내년 총선 때까지는 재판리스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 대표가 과연 내년 총선을 진두지휘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기는 충분하다.
이번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이 대표가 보이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압승했다는 점에서 내년 총선에서도 이 대표가 보이지 않는 것이 선거전략에 가장 좋은 전략이 될 것인지에 대해 근본적인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것은 민주당 내부에서 근본적인 고민이 될 것이고, 그것은 비명계가 꾸준하게 제기할 문제이면서 계파 갈등의 뇌관이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대표가 계속해서 내년 총선을 진두지휘하겠다고 한다면 비명계는 계속해서 이 대표를 향해 공격할 것이고, 보수 언론들 역시 계속해서 재판리스크를 갖고 공격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내년 총선의 선거대책위원회를 하루로 빨리 출범을 시키고, 선대위원장이 선거를 진두지휘하는 방식을 취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그렇게 될 경우 이 대표의 모습이 사라지게 되면서 그에 따라 다음 대선에서 과연 출마할 수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 대표가 재판리스크를 어떤 식으로 극복해야 할 것인지가 가장 큰 숙제이면서 시급한 숙제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사법리스크는 약화됐다고 하지만 재판리스크는 계속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 대표가 당무에 복귀한다고 하지만 민주당이 내재한 문제점을 하루라도 빨리 해소하지 않으면 민주당은 더욱 힘든 수렁에 빠질 수밖에 없다. 특히 혁신과 개혁이 어떤 식으로 이뤄지느냐는 것은 이 대표에게 중요한 숙제가 됐다. 그것은 통합과 화합으로 이어질 것인지 아니면 이 대표의 사당화가 될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 대표가 단식투쟁을 하면서 당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끊임없이 자신에게 했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 물음에 대한 대답을 이제 당무 복귀를 통해 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