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하마스 충돌 심화…사우디 회담서 평화 기여 논의”
빈 살만과 회담 앞두고 현지 매체 인터뷰…”사우디, 역내 주요 플레이어”
(리야드=연합뉴스) 이동환 기자 = 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한-사우디 회담에서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 등과 관련한 평화 기여 방안 및 경제 협력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사우디 일간지 알 리야드와 서면 인터뷰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이스라엘·하마스 간 무력 충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안보의 불안정성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번 회담은 양국이 세계 평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어떻게 함께 기여할지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왕세자 겸 총리와 회담 및 오찬 등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한다.
윤 대통령은 “한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자 2024∼2025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이라며 “다양한 글로벌 도전 과제에 대해 국제 및 역내 주요 플레이어인 사우디와 협력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과 러시아가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군사협력을 논의한 것은 대단히 우려스럽다”며 “러북 군사협력은 대한민국과 우크라이나 안보에 대한 도발일 뿐 아니라 안보리 결의를 의결한 유엔과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핵탄두를 탑재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은 세계 주요 도시를 타격할 수 있으며 이는 세계 모든 나라의 평화에 대한 실존적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사우디가 국제 무대에서 핵 비확산에 관한 확고한 지지 입장을 견지해온 만큼 대한민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개발을 차단하는 데 있어서 사우디와 적극 협력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 정부는 압도적 대응 능력과 태세를 갖춰 북한의 핵 위협을 억제할 것이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필요로 하는 자금과 물자를 확보하지 못하도록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지난해 11월 빈 살만 왕세자가 방한해 체결한 290억 달러 규모의 양해각서(MOU)와 계약의 후속 조치 등이 논의될 것이라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번 방문은 (11월 방한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양국의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하고 협력 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우리 전체 해외 건설 수주액의 20% 가까이 차지하는 최대 건설 수주 시장이라면서 “지난해 11월 방한 이후 이 분야 협력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앞으로도 실질적 성과가 이어지도록 긴밀히 협력해나가길 희망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현대건설이 리야드 시내 사우디 내무부 청사를 지었던 점을 언급하며 “건설·인프라는 오랜 기간 양국의 주축 협력 분야였다. 앞으로 사우디가 네옴 시티를 건설하는 과정에도 한국 기업이 좋은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사우디는 한국의 최대 원유 공급처로 사우디의 안정적 원유 공급은 양국의 경제 발전에 함께 기여해왔다”며 전통적 에너지 협력을 넘어 향후 수소 공급망이나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도 정부 차원의 협의를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빈 살만 왕세자 주도로 에너지원 다각화, 제조업 육성 등 산업 다변화를 통해 경제 구조 틀을 일신하는 ‘비전 2030’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윤 대통령은 “한국은 ‘비전 2030’ 실현을 위한 중점 협력 국가 중 하나”라며 “비전 2030은 포스트 오일 시대에 대비한 사우디의 미래 성장 전략을 선명하게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이 원전·수소 등 고효율 무탄소 에너지를 폭넓게 활용하면서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CCUS)을 발전시키고 있다면서 “사우디는 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를 기반으로 한 수소 생산에 강점을 가진 만큼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양국이 함께 협력해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기후변화 시대에 질 좋은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데 필요한 스마트팜 기술을 보급하는 데에도 양국이 좋은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한국 드라마와 K팝을 매개로 양 국민 간 호감이 커지고 있다면서 “한국인들은 기본적으로 진취적이고 개방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사우디 문화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로 수용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dhlee@yna.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