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지영 기자] 지난 4월 라덕연 사태에 이어 또 다시 발생한 주가조작 사건으로 키움증권이 다시 구설수에 휘말렸다. 키움증권은 리스크 관리 기능 부실에 따른 ‘작전세력의 놀이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키움증권은 영풍제지의 주가 급락으로 미수금 4943억원이 발생했다. 이는 키움증권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 4258억원을 뛰어넘는 규모다.
순이익을 웃도는 미수금이 발생한 배경엔 키움증권의 무사안일한 태도가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지난 4월 발생한 라덕연 사태 이후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자체적으로 이상 거래를 감지하며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왔다. 그러나 키움증권은 이번에도 리스크 강화에 힘쓰지 않은 모양새다.
증권사는 무리한 ‘빚투’로 인해 담보 부족 계좌들이 속출하고 미수 채권이 걷잡을 수 없이 불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용융자와 담보대출, 미수거래 등을 제한한다. 투자자 보호를 비롯해 회사의 자본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주가를 인위적으로 올리는 시세조종 행위에 막대한 자금이 이용되는 만큼, 신용과 미수 등이 주가조작 세력의 자금줄로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영풍제지의 경우 뚜렷한 이유 없이 11개월간 주가가 12배 이상 올라 일각에선 작전 종목 아니냐는 의심을 받아 왔다. 실제로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신한투자증권 등은 올해 초부터 지난 7월까지 영풍제지에 대한 투자 증거금을 100%로 상향했다. 투자자들이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없도록 한 것이다.
반면 키움증권은 영풍제지 하한가 사태가 터진 지난 18일까지 증거금률을 40%로 유지하다가 거래가 정지된 19일에서야 100%로 조정했다. 타 증권사와 달리 미수거래 증거금율을 상향하지 않아 주가조작범들이 미수거래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키움증권의 내부 위험 통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것 같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이에 대해 키움증권 측은 “신용거래는 미리 막아놨다. 미수거래는 재무구조나 상장폐지 위험, 시가총액, 거래대금, 자본구조 등을 감안해 허용하고 있다”며 “당시 영풍제지는 그 기준에 부합해 증거금율을 40% 유지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수천억원대의 미수금이 발생하고 나서야 키움증권은 뒤늦게 다른 15개 종목에 대한 위탁증거금률을 100%로 올려 미수거래를 막겠다고 나섰다. 지난 4월 ‘라덕연 사태’에 이어 이번 역시 선제 조치가 아닌 한 발 늦은 대응으로 리스크 관리 부실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날 키움증권은 와이랩 △화인베스틸 △에코프로 △포스코DX △레인보우로보틱스 △POSCO홀딩스 △이수페타시스 △인벤티지랩 △한미반도체 △LS네트웍스 △이랜시스 △에코프로비엠 △신성에스티 △우리로의 위탁증거금을 100%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이 또한 뒤늦은 조치라는 업계의 지적에 키움증권 측은 “사후 조치를 강화해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알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