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토종 ICT 기업인 카카오가 ‘비욘드 코리아, 비욘드 모바일’이란 비전을 외친 것과는 무색하게 여전히 소상공인들에 ‘수수료 장사’로 이익을 거두는 형태를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앞서 카카오는 내수기업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복합테크 기업으로 나아간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2년 6개월 만에 또다시 계열사를 39개 늘리는 등 문어발식 내수 확장을 펼쳐 왔다는 지적이다.
23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받아 공개한 ‘카카오 계열 변동 및 골목상권 철수 업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카카오 계열사는 총 144개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1년 2월(105개)보다 39개(37.1%) 증가한 것이다. 앞서 김범수 창업자는 지난 2021년 국정감사에서 계열사 확장에 따른 골목상권 침해를 지적받고 “일부는 이미 철수를 시작했고 일부는 지분 매각에 대한 얘기를 검토하고 있다. 좀 더 속도를 내겠다”고 공언했으나 실제로 철수한 골목상권 관련 업종은 카카오모빌리티와 포유키즈 장난감 도매업 단 2개 업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가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카카오톡 광고 매출로 벌어들인 수익은 5조7000억원에 달한다. 다만 여기에는 ‘카카오 선물하기’ 등에서 벌어들인 수익이 포함되는데, 지난 16일 공정위 국정감사를 통해 카드수수료(1~2% 내외)보다 5배 이상 높은 5~11% 수수료 수취가 또다시 논란이 됐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실이 공개한 ‘카카오 선물하기의 브랜드별 수수료 분담’ 자료에 따르면, 반올림피자, 메가커피, BHC, 할리스 등은 7~11%의 높은 수수료를 모두 가맹점에 떠넘기고 있었다. 또 일부 브랜드에선 대금 정산이 1개월이 넘게 소요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같은 지적은 최근 카카오가 해외로 영역을 넓히고 있는 웹툰·게임 등 콘텐츠 IP시장에서도 나오고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2018∼2020년 자사 웹소설 공모전에서 당선된 작가들에게 2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는 권한을 부당하게 침해한 이유로 공정위 제재를 받은 것이다. 다만 여기에 대해 카카오엔터는 항소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에 더해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에서 시세조종 의혹으로 오너 리스크까지 휘말리면서 향후 차세대 초거대 AI ‘Ko(코)GPT 2.0’의 구체적인 출시 일정과 함께 향후 경영전략도 베일에 쌓였다.
김정태 동양대 게임학부 교수는 “신사업들이기 때문에 저작권 등과 같은 이슈들이 이제 막 대두되는 시점인 것 같다. 카카오가 IT 장악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창작자들의 권리 보호를 위한 현명한 전략을 찾아가야 할 시점”이라며 “(게임산업에 있어선) 이미 성공적 툴을 가진 카카오에게 공격적 전략이 필요하다. 원만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