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 가상자산 기본법 도입…5년 전 정부 스탠스와 달라”
글로벌 웹3 기업 국내 투자자와 기업들 사업 모델에 관심
“산업이 얼마나 빠르게 바뀌고 있고 그 과정에서 어떤 노력들이 합해져 있는지 봐야한다”
김준우 쟁글 대표는 26일 이투데이 주최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진행된 ‘2024 테크 퀘스트’에서 ‘한국 웹3 산업의 기회와 위험’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김준우 대표는 “2017년이 돼서야 비트코인이 1800만 원까지 오르면서 개념에 대해 공부하게 됐고, 유즈 케이스(use csse)들이 등장했다”면서 “내년 7월이면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도임되는데, 2018년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부터 5년 만에 정부 스탠스가 180도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잘 안 됐던 사례지만 테라 같은 케이스를 보면서 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USDT나 USDC 등 고도화된 스테이블코인의 유즈 케이스들도 많이 나왔다”며 “이전에 화폐의 영역은 명확하게 중앙은행만의 영역이었고 이제 기술이 보증 해줄 수 있는 형태로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5년 동안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김 대표는 웹3 산업 현황을 포천 100대 기업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김 대표는 “웹3 서비스가 나와 있는 형태 기업들이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7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많은 기업이 시작하고 있다”며 케이스를 보여줄 수 있는 기업들의 가능성에 대한 기반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관점으로 보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럼에도 아직 국내 블록체인 산업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도 짚었다.
그는 첫 번째로 “개인 투자자들은 언제 기대 수익이 돌아올지 모르겠다는 관점으로 보기 때문”이라며 “국내 대부분의 기업들 중에서 웹3를 고민하고 있는 곳은 대부분 다 긴 호흡으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규제 측면에서 건전한 투자자 환경 조성이 안 되는 게 크다”며 “기존 시스템이나 금융 생태계에 무슨 영향을 줄지에 대한 안전 체계부터 고민하는 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요인들이 있지만 국내에서는 쓸 수 없는 것들이 많다”며 “국내에서 시도를 하는 기업들도 규제 친화적인 곳으로 나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어려운 산업 상황에서도 한국은 글로벌 웹3 기업들이 집중하고 있는 시장이라고 김준우 대표는 강조했다.
김 대표는 “글로벌에서 모바일 산업이나 인터넷 기술을 봤을 때 한국에 집중하고 있었나 보면 아니다”라며 “블록체인에서 한국 주목하고 있냐고 봤을 때 좋은 점일 수도 한계점일 수도 있지만, 코인 투자 규모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리테일이 두텁다는 건 새로운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증명한다”면서 “두 번째로는 기업들이 고민을 많이 하고 실질적인 사업 모델을 만들고 있다”라는 측면에서 국내 시장 관심에 대한 이유를 꼽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