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은 사전적 의미로 일을 감당 해 낼 수 있는 힘이라고 합니다.
보통 능력좋다는 표현을 하죠.
그건 뭔가를 잘 한다는 뜻이 됩니다.
약간 비야냥거리는 소리로 생각보다 잘 한다는 뜻도 되죠.
한국에서 능력에는 단순히 개인이 갖고 있는 실력만 의미하지 않습니다.
개인을 넘어 집안이나 동문 등을 포함해서 다양하게 읽힙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한국에서 능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서요.
한국에서 능력과 실력이 비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게 3분의 2나 되네요.
더구나 한국에서 능력은 돈으로 대변되고 있습니다.
돈만 있다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뜻이 되는 거죠.
안타깝지만 한국은 황금만능주의가 팽배하면서도 애써 이를 부정합니다.
노력으로 부자가 된 사람에게 박수를 치고 돈을 쓰게 만들어야죠.
걸핏하면 부자가 희생하라고 강요하는 문화는 개선되어야 하지 않을까합니다.
부자이니 손해를 봐도 된다는 정서가 무척이나 많죠.
한국에서 부자가 그만큼 본을 보이지 못한 이유가 가장 크긴 하지만요.
그러면서도 한국에서는 배금주의가 아주 팽배하다고 봅니다.
겉과 속이 완전히 다른 모습이라고 할 수 있죠.
솔직히 돈이 좋다고 하는 게 맞는데 그런 말하는 걸 터부시합니다.
그러면서도 능력이 재력을 뜻한다는 본심을 다들 갖고 있습니다.
돈만 있다면 뭐든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거죠.
집안 배경과 학벌에 대해서도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성공을 거두는 데 있어 부모나 학벌은 분명히 중요합니다.
이건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다 동일합니다.
억울해도 어쩌겠어요.
이건 인류 역사 이래로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게 또 인간이 생존을 위해 택했던 방법이기도 합니다.
생존과 번식이 바로 인류를 지금까지 살아남게 한 원동력이니까요.
이걸 무임승차로 볼 것인가, 능력으로 볼 것인가.
각자 입장에 따라 달리 볼 수 있겠죠.
이런 점은 하층일수록 무임승차로 보는 경향이 강합니다.
중상층 이상일수록 그런 생각이 덜하고요.
아마도 본인 스스로 불가능한 영역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닐까합니다.
다른 건 몰라도 학벌은 다르지 않나라는 생각도 드는데요.
이 부분도 역시나 이제는 학벌마저도 부모 능력때문이라고 생각하네요.
아무래도 학원이나 과외 등은 돈이 없으면 불가능하니 그럴 듯합니다.
한국 사회가 지금까지 올 수 있는 가장 큰 원동력은 누가 뭐래도 교육이었습니다.
누구에게도 평등하게 기회를 받을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교육이었죠.
이마저도 이제는 단순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갖게 된 듯합니다.
실제로 일류대 합격하는 비율이 잘 사는 동네일수록 높죠.
과거에도 그런 경향이 있었지만 이제는 비율이 압도적일 정도죠.
개천에서 용난다는 교육이 가장 큰 역할했지만 이제는 점점 어려워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나마 명문대학을 간 건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적 지위도 능력이라고 보고요.
경제적 부가 능력을 말해준다고 생각하네요.
예전에 각 국가의 중산층에 대한 개념이 나온 적이 있었죠.
다른 국가에 비해 유독 한국만이 오로지 물질적인 걸로 결정되었죠.
다른 국가는 가치와 봉사처럼 무형이 좀 많았고요.
이렇게 한국이 유독 돈에 대해서 만능주의처럼 생각하면서요.
정작 돈에 대해 상당히 배타적인 건 엄청나게 모순적이죠.
겉바속촉이 아니라 겉체속돈입니다.
겉으로 바싹하고 속으로 촉촉하다 처럼요.
겉으로는 체면을 차리지만 속으로는 돈을 추구하죠.
제 생각에는 인정할 건 그냥 인정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많은 문제점이 여기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돈만 있다면 내가 최고라는 생각 말이죠.
한국이 진짜 성숙한 시민사회가 되려면 돈을 차라리 인정하는게 맞습니다.
아울러 돈으로 사람을 등급 나누는 걸 그만했으면 합니다.
또한 사회 시스템으로 볼 때 능력을 발휘할 기회도 못 갖고 공부 하기 힘든 사람도 있고요.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고민해야겠죠.
근데, 인정할 건 인정해야죠.
누가 뭐래도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는 재력이 능력입니다.
모든 것이 전부 돈으로 교환될 수 있으니까요.
최고의 치료가 금융치료라고 하는 것처럼요.
어서 빨리 더 능력을 키우면 재력도 늘어나겠죠?
최소한 돈이 있으면 여러 가지 가능한 건 팩트니까요.
https://www.trendmonitor.co.kr/tmweb/trend/allTrend/detail.do?bIdx=2782&code=0404&trendType=CKOREA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