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이 다음달 중순 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관계 개선을 위한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사실상 합의했으나 팽팽한 기싸움은 여전히 지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분위기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미국의 공격을 주로 방어하는 입장이었던 중국이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진짜 그렇다는 사실은 중국이 보이는 태도를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우선 왕이(王毅)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임)의 행보를 꼽아야 할 것 같다. 지난 26일부터 3일 동안 미국을 방문해 조 바이든 대통령,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등을 만나 양국 정상회담 개최 문제를 논의하는 성과를 올렸음에도 비판적인 대미 시각을 좀체 거두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장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미 싱크탱크 애스펀협회가 주최한 국제전략공동체 회원들과의 회의에 참석, “정상회담으로 향하는 길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고 밝힌 사실만 거론해도 좋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의 30일 전언에 따르면 정상회담에 임할 미국의 선의를 의심한다는 얘기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지금보다 더 성의를 보이라는 주문이라고도 봐야 한다.
언론의 시각 역시 꼽이야 한다. 대표적으로 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의 자매지인 환추스바오(環球時報)와 영문판 글로벌타임스의 30일 주장을 살펴보면 알기 쉽다. “중미 관계가 개선의 계기를 맞을 때마다 미국에서 중상모략이 나타났다. 완전히 터무니 없는 정치 논리로 양국 관계를 훼손했다”면서 양국 관계의 안정에는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관세와 교류 장벽을 미국이 자진 철폐할 것 역시 권고했다. 대만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국은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여러 차례 밝혔다. 구체적인 정책과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 미국을 압박했다. 기싸움에서 지지 않으려는 의도가 진짜 다분히 엿보인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이라고 가만히 있을 까닭이 없다. 일본과 외교·경제 장관이 참여하는 이른바 ‘경제판 2+2(미·일 경제정책협의위원회)’를 내달 중순 미국에서 개최하려는 행보가 무엇보다 잘 말해준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첨단 반도체와 인공지능(AI), 양자 등의 분야에서 양국의 기술 협력 강화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면 더 이상 설명은 필요 없다.
게다가 미국은 중국이 요구하는 각종 대중 압박 조치들을 풀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 최근 일본을 비롯한 G7(주요 7개국)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현실을 보면 오히려 향후 보다 강력해질 조짐마저 보인다. 양국 정상회담이 별로 성과를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베이징 외교가에서 벌써부터 나오는 것은 다 까닭이 있다고 해야 할 것 같다.
댓글0